
한국경영자총협회
경총은 7일 입장 자료를 통해 "노사 공익 간에 균형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개편하려는 정부 논의 초안에 대해 경영계는 의미 있는 협의 기초안이 될 것으로 여긴다"라고 평가했다.
경총은 "그간 최저임근 수준 자체가 크게 높아진 상황인 만큼 공론화 과정에 있어서 기업의 지불능력, 고용능력, 생산성 같은 요인에 대한 고려에 중점을 둬야한다"며 "업종별·지역별 최저임금 구분 적용 방안, 정부의 최저임금 결정에 대한 책임성 강화 방안도 심도있게 검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경총은 또 "현재 정부 고시 최저임금은 최근 2년간 30%가까이 인상되어 국민경제를 고려한 상대적 수준이 세계 최상위권에 이르렀다"며 "근로자의 최저생계보장 측면에서의 최저임금제도 목적은 상당정도 충족했지만 기업 경영에는 과도한 부담을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주석 기자 jspar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