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 '더 프레임'(왼쪽)과 '세리프 TV'
더 프레임은 그림·사진 등의 예술작품을 '아트 모드'를 통해 보여줌으로써 일상 공간을 갤러리처럼 만들어 주는 제품으로 주변 밝기에 따라 작품의 색감을 조정해 주는 조도센서와 캔버스의 질감을 살린 디스플레이가 특징이다.
2019년형 더 프레임은 QLED 디스플레이를 처음으로 탑재했다. 또 신제품에는 인공지능(AI) 음성인식 플랫폼 '빅스비'가 적용돼 더욱 편리해졌다. 넷플릭스나 유튜브TV·훌루(Hulu)·슬링TV(Sling TV) 등 방송 플랫폼과 연동되는 것은 물론 간단한 음성명령으로 TV 제어가 가능하다.
아트 유통 플랫폼으로서의 기능도 강화됐다. 삼성 '아트스토어'에서는 세계적인 갤러리·박물관·작가들과의 협업을 통해 현재 총 1천여 점 이상의 작품을 소비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속적인 파트너십 확대를 통해 더욱 강력한 아트 에코시스템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세계적인 가구디자이너 로낭&에르완 부훌렉(Ronan & Erwan Bouroullec) 형제가 디자인한 세리프 TV는 심미적 요소에 중점을 제품 자체가 하나의 인테리어 요소가 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이러한 디자인적 가치를 인정받아 출시 당시 세계적 권위의 'iF디자인 어워드(international Forum Design Award)', 영국 '월페이퍼 어워드', 일본 '굿 디자인 어워드(Good Design Award)'를 석권한 바 있다.
삼성전자는 2019년형 세리프 TV에 QLED 디스플레이를 적용해 TV 본연의 기능을 강화하고 TV 종료 시 생활정보나 사진 등을 보여주는 '매직스크린' 기능을 통해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했다. 2019년형 '세리프 TV' 사용자들은 부훌렉 형제가 직접 디자인한 20여개의 특화 매직스크린 모드인 '부훌렉 팔레트(Palette)'를 만나볼 수 있다.
삼성은 소비자의 대형 TV 선호 트렌드를 반영해 기존 24~40형에서 43·49·55형으로 라인업을 변경해 신제품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지금까지는 가구 전문점과 백화점 중심으로 세리프 TV를 판매했으나 내년부터는 일반가전 매장으로 유통을 확대해 소비자 접점을 늘려간다는 방침이다.
더 프레임과 세리프 TV 두 제품 모두 내년 4월을 기점으로 미국·유럽·한국 등 주요 국가에 순차적으로 출시될 예정이다.
추종석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부사장은 "과거 TV는 화질·성능 등 기술적 측면이 강조됐지만 이제는 소비자의 일상 공간에 스며드는 라이프스타일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삼성은 더욱 새로워진 '더 프레임', '세리프 TV'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TV 이상의 시청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김희연 기자 hyk8@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