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입은행 본점 / 사진제공= 수출입은행
또 창원·구미·여수·원주 등 4개 지점·출장소를 줄여 조직을 슬림화에 나선다.
수은은 10일 이같은 내용의 조직 축소를 단행하고 혁신안 이행을 마무리한다고 밝혔다.
수은의 본부 축소는 지난 2016년 11월 경협총괄본부와 경협사업본부를 경제협력본부 하나로 통합한데 이어 이번이 두 번째다.
종전 9개 본부에서 경영기획본부·프로젝트금융본부·혁신성장금융본부·중소중견기업금융본부·경제협력본부·남북협력본부·리스크관리본부 등 7개 본부로 조직이 축소됐다.
이로써 수은은 올해 사외이사 추가선임, 신용공여한도 축소 등 22개 과제를 이미 이행한데 이어 이날 조직축소, 급여·예산 삭감 등 10개 세부방안으로 이루어져 있는 마지막 과제인 자구계획까지 모두 완료했다.
앞서 수은은 글로벌 금융위기로 해외건설‧플랜트, 조선 등 중후장대산업의 업황 부진이 수은의 건전성 저하로 이어지자, 2016년 10월 총 23개과제로 구성된 혁신안을 수립한 바 있다.
수은은 2016년 1조5000억원의 적자에서 혁신안 발표 이후 경영이 개선돼 지난해에는 1700억원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다만 해양·구조조정본부가 없어지는데 따른 조선 해양산업 지원은 부산 해양금융센터에 위치한 해양기업금융실을 해양금융단으로 개편해 이어간다.
이와 함께 창원·구미·여수·원주 지역 고객업무는 인근지점으로 이관한다. 주 1회 방문하는 ‘찾아가는 서비스’를 운영해 고객기업의 불편을 최소화 하겠다는 방침이다.
또 시중은행 영업망을 활용한 해외온렌딩 업무도 확대해 수출중소기업 정책금융 접근성을 높일 계획이다.
은성수닫기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