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의원은 이날 오전 진행된 더불어민주당 정책조정회의에서 “지난 3분기부터 제2금융권 연체율이 상승하고 있는 만큼 금리인상 이후 가계부채 질 하락에 경각심을 갖고 대책을 준비해야 한다”면서 금융당국의 대책 수립을 주문했다.
김 의원은 이어 “매달 대출금리 변동에도 월 상환액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잔여원금은 만기에 일시정산하는 ‘월 상환액 고정 모기지론’과 같은 대책을 도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한 김 의원은 “한은에 따르면 대출금리가 1% 오를 때 고위험가구수는 4만 가구 이상으로 증가하고 이들 부채는 15조6000억원에 달한다”면서 가계대출 관리대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실제 한국은행은 지난 6월 발간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대출금리가 1%포인트 오르면 대출금을 갚기 어려운 고위험 가구가 4만2000가구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하며, 금리 상승은 차주의 이자 상환 부담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가계 보유 자산과 소득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밝힌 바 있다.
이와 더불어 김 의원은 "금융기관 3곳 이상에서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와 자영업자대출의 영향으로 지난 9월 말 대부업체(0.9%), 저축은행(0.3%) 등 2금융권의 연체율이 올라 심상치 않은 조짐을 보인다"고 지적했다.
유선희 기자 ys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