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금센터는 경제지표에 기초한 유연한 통화정책이 파월 의장의 기조지만 미국이 "단지 물가상승 시 금리인상을 가속화하거나, 경기하강 시 금리인상 중단을 시행한다면 시장의 변동성을 유발하는 리스크가 내재하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파월 의장이 최근 언급한 중립금리 범위는 경기를 과열이나 냉각시키지 않는 수준을 의미한다. 미 FOMC는 해당 수준을 3.0%로 분석하고 있는데 미국 기준금리가 2.00~2.25%를 나타내고 있어서 향후 3~4회 인상 시 중립금리 수준에 도달하게 된다.
일본 니케이신문은 10월 이후 통화정책 흐름의 변화를 주도하고 있는 배경은 무엇보다 주가 하락때문이라고 전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의 압력도 금리인상 기조를 늦추는데 반영되었다는 견해도 존재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보다 연준이 문제라면서 금리인상에 강하게 반발하기도 했다.
국가경제위원회 커들로 위원장은 감세에 의한 생산성 향상으로, 공급부족에 따른 인플레이션 가능성이 낮다고 지적했다. 한편 클라리다 부의장도 물가상승 없는 성장에 동의한 바 있다.
니케이는 금리인상 지속 시 미 정부의 이자부담이 늘어나 대형 감세에 의한 재정문제가 부각될 것으로 전망했다.
파월 의장은 "단계적인 금리인상이 당분간 적절하다고 밝혔고 미국 경제는 실업률이 48년 내 최저 수준인 상황에서 인플레이션 상승 압력의 우려가 상존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다만 감세효과 약화로 2019년 이후 성장세 약화 가능성도 병존한다고 했다.
한국금융신문 김경목 기자 kkm3416@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