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김경진 의원실
민주평화당 김경진 의원이 트랜스리서치에 의뢰해 실시한 ‘합리적인 이동통신 요금정책에 관한 여론조사’ 결과를 22일 공개했다.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응답자 중 통신요금 인가제가 ‘개선 필요성이 있다’(67.5%)고 답한 사람의 비중이 가장 컸다. ‘완전 폐기돼야한다’(11.9%)고 대답한 사람이 그 뒤를 이었다. 계속 유지돼야 한다고 답한 사람은 9.4%에 불과했다.
통신요금 인가제란 통신사업자들이 새로운 상품을 출시하기 전에 정부의 인가를 받아야 하는 제도다. 독점을 위한 과도한 요금인하 등 시장지배력 행사의 폐해를 막고자 도입됐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소비자가 더 싼 가격으로 상품을 이용하는 것을 원천 봉쇄하고 오히려 담합을 유도하는 규제라는 지적이 있다.
이동통신요금 절감을 위한 방법으로는 ‘기본료 폐지’(25.3%)가 가장 합리적인 해결책으로 꼽혔다. 다만 청소년과 20대 응답자는 ‘단통법·보조금 상한제 개정 및 폐지’를 1순위로 생각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휴대폰 교체주기가 상대적으로 빠르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자료=김경진 의원실
현재 각 통신사가 운영 중인 특정 서비스에 대해 데이터 요금을 면제해주는 ‘제로레이팅’에 대해서는 ‘합리적인 정책’이란 의견이 70%로, 전 계층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예컨대 KT는 지난 9월 ‘갤럭시 노트9’을 출시하며 제로레이팅 서비스를 도입한 바 있다. ‘피파온라인’ 등 인기게임을 데이터 과금 없이 이용할 수 있으며 무료로 게임 아이템을 제공하는 서비스다.
‘합리적인 이동통신 요금정책에 관한 여론조사’는 전국 14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10월 19일부터 23일까지 실시됐다.
김희연 기자 hyk8@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