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울러 서울·울산·광주·창원·서산·아산 등 6개 지자체는 내년 3월부터 수소전기차 총 30대를 시범 투입할 예정이다.
수소전기버스 시범사업 추진을 위해 21일 서울 더 플라자호텔에서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가 서울시와 업무협약(MOU)을 ▲환경부, 산업부, 국토교통부가 서울특별시, 울산광역시, 광주광역시, 충청남도, 경상남도, 창원시, 서산시, 아산시 및 현대자동차와 공동 MOU를 체결했다.
산업부-환경부가 서울시와 체결한 MOU에 따라 서울시의 405번 버스노선에는 내년 8월까지 수소전기버스가 시범 투입된다.
해당 노선은 염곡동에서 서울시청을 순환하는 왕복 총 43㎞ 구간으로, 수소전기버스는 일 평균 4~5회 가량 운행된다. 해당 노선에는 압축천연가스(CNG) 버스 18대가 운행됐었다. 수소충전소는 현대자동차가 운영하는 양재 그린스테이션을 활용할 예정이다.
서울시 405번 수소전기버스는 지난달 국내 최초로 울산시 시내버스 노선(124번)에 투입된 수소전기버스와 제원과 성능이 동일하다. 최대 출력은 200kW, 최고 속도는 92㎞/h, 1회 충전 주행거리는 317㎞에 이른다. 해당 버스는 현대자동차의 3세대 수소전기버스로 지난 2월 2018 평창동계올림픽 및 동계패럴림픽 후원차량으로 제공돼 전 세계에 소개되기도 했다.
또 6곳의 지자체는 내년 3월부터 수소전기버스를 순차적으로 도입해 노선버스 등으로 총 30대를 운영할 예정이다.
정진행 현대자동차 사장은 “서울 도심을 달리는 405번 수소전기버스는 어떠한 대중교통 수단보다도 깨끗하고 안전하며, 편안한 시민들의 이동 수단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현대자동차는 지난 2005년 1세대 수소전기버스 개발에 성공해 이듬해 독일월드컵 현지에서 시범 운행했다. 이어 2009년에 개발된 2세대 수소전기버스는 인천공항 셔틀버스와 주요 지자체의 시범운행 차량으로 운영됐으며 현재 서울에너지드림센터 에코투어 셔틀버스로 활용되고 있다.
곽호룡 기자 horr@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