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업무협약으로 KT와 전주시는 환경 관련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최적의 미세먼지 측정 장소를 도출해 공기질 측정 장비 40개를 설치하기로 했다. 해당 장비가 설치되는 지역은 주요 유동인구 밀집되거나 공장과 같은 유해시설이 많은 우선 관리구역으로 선정한 곳이다.
아울러 KT는 구축된 인프라를 활용해 초·미세먼지, 소음, 온도, 습도 등 공기질 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전주시에 제공한다. 전주시는 KT가 전달하는 데이터와 정부에서 운영하는 미세먼지 측정망 데이터를 융합해 전주시 대기정보시스템으로 생산한 공기질 정보를 전달한다.
전달된 공기질 정보는 시민들의 안전과 건강, 외부활동 편의를 위해 12월부터 전주시청과 주민센터에 설치된 실시간 현황판을 통해 공개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양 기관은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공기질 측정 인프라의 단계적 확대 △통합 환경 플랫폼 기반 미세먼지 통합관제 △유아, 노인과 같이 미세먼지에 민감한 계층을 위한 실시간 대응체계 마련 △폭염 및 수질 오염 등 생활 환경 관리 시스템 구축 등 관련 서비스 영역을 확대할 방침이다.
김승수 전주시장은 “KT와의 협력을 통해 체계적인 미세먼지 관리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해 특히 53만 전주시민들이 더욱 안심할 수 있는 공기를 마실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KT 전북고객본부장 박용만닫기

김희연 기자 hyk8@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