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이준행 고팍스 대표
이준행 고팍스 대표가 블록체인을 바라보는 시각이다. 언제부턴가 ‘블록체인=탈중앙’이라는 인식이 자연스럽다. 하지만 이 대표는 탈중앙이 블록체인의 여러 특성 중 하나일 뿐이라고 말한다. 블록체인이 빛을 발하는 건 ‘컨센서스 머신’으로서 활용될 때라고 강조한다.
◇ “암호화폐 시장, 아직 신생아”
이 대표는 암호화폐 시장을 신생아에 비유한다. 이미 성숙한 시장인 주식시장과 비교하면 암호화폐 시장의 현주소는 더욱 분명해진다. 주식시장과 달리 암호화폐 시장에는 시장을 통제할 제도가 없고 관련 파생상품도 없다. 거래 주체는 대부분 개인이며 시장을 지지하는 대규모 기관 자금이 유입하지 않는다. 때문에 시세가 급등락을 거듭하고 적정 가격을 찾아가기 어렵다.
해킹 등 보안 문제는 국내 모든 암호화폐 거래소들이 당면한 만성 골칫거리다. 공격 주체는 북한 해커로 의심된다. 이 대표는 “북한 해커들의 공격 시도를 24시간 모니터링하며 방어하고 있다”며 “같은 언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한국 암호화폐 거래소를 집중 공격하는 것이지 해외 거래소에 비해 국내 거래소 보안이 구조적으로 취약해서 공격하는 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시장이 미성숙한 만큼 투자자들의 시선에도 아직 의심이 가득하다. 거래소가 주도적으로 시세를 조종하거나 간접적으로 시세 조작을 눈감아주는 것 아닌가 하는 의혹이 끊임없이 제기된다. 이 대표는 그러나 “대부분의 거래소에 상장돼 있고 지갑이 제공돼 투자자가 언제든 코인을 넣고 뺄 수 있는, 예컨대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같은 코인은 시세 조작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다.
업계가 가장 큰 문제로 지목하는 건 암호화폐의 제도권 포섭 지연이다. 규제 공백 상태에서 업계가 투자자 보호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엔 한계가 있다. 보안 체계를 갖추고 거래소를 잘 운영하는 건 거래소 사업자 몫이지만 거래소는 불법적 자금 유통을 예방할 수 있는 권한과 수단을 갖고 있지 않다. 그는 “정부와 업계가 공조할 수 있는 구조가 만들어져야 한다”고 피력했다.
◇ “블록체인은 가장 효율적인 컨센서스 머신”
이 대표는 지금의 규제 공백이 장기화할 가능성이 작다고 믿는다. 블록체인이 성장할 산업이라는 건 정부와 산업계가 모두 동의하기 때문이다. 그는 “정부에서도 관심 갖는 사람이 많을 것이고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를 성장 산업으로 인정한다면 당연히 관련 제도를 만들 것”이라고 자신했다.
이 대표는 “블록체인은 대중의 컨센서스를 쉽고 효율적으로 모을 수 있는 소셜 테크놀로지”라고 강조한다.
그는 “탈중앙은 블록체인의 속성 중 하나일 뿐, 블록체인의 핵심 가치는 컨센서스 머신으로서의 속성”이라며 “블록체인은 열린 상태에서 검열 없이 흩어져 있는 사람들로 하여금 특정 프로토콜이나 가치에 대한 동의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제공하게 하는 기술”이라고 정리했다.
때문에 100% 탈중앙화가 반드시 ‘선’은 아니라고 평가한다. 이 대표는 “민주주의는 느리지만 시스템 실패가 적고 독재는 효율적이지만 부패하게 마련”이라며 “강력한 중앙 집중 시스템이 필요한 부분이 있는가 하면 탈중앙을 지향해야 할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탈중앙이 필요한 영역은 중앙화된 현 시스템이 제 역할을 못하고 있거나 다수의 이익과 상충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가능성이 큰 분야”라고 덧붙였다.
같은 맥락에서 이 대표는 암호화폐 거래소 시스템 역시 중앙화돼 운영되는 게 정부와 산업계, 소비자 모두에게 이로울 수 있다고 본다. 이 대표는 “전세계 거래소가 하나로 통합되고 모든 거래자가 한곳으로 모인다면 가격발견 기능이나 운영 효율성 측면에서 좋을 수 있지만 암호화폐 시장은 글로벌 시장이기 때문에 이건 이론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원화 코인 거래시장 만이라도 국가가 망을 만들어 놓고 라이선스제를 도입해서 제도권에 포함된 업자들에게만 망 연결 기회를 제공하는 식으로 적절히 통제하면 좋을 것 같다”며 “정부 입장에선 통제하기 편하고 소비자는 합리적이고 안전하게 암호화폐를 거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업계 입장에서도 정부 잣대를 충족할 수 있는 거래소라면 거부할 이유가 없다”며 “다양한 이해당사자 입장에서 인가제가 도입되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최근 속속 등장하고 있는 탈중앙 암호화폐 거래소와 관련해서도 이 대표의 의견은 ‘중립’이다. 이 대표는 “다양한 시도가 나오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생각하나 지금의 탈중앙 거래소는 아직 기술적으로 완벽하지 않다”며 “향후 둘다 공존할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중앙화 거래소 포션이 더 크게 유지될 것 같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중앙화 거래소가 가격발견 기능이나 거래비용 축소, 보안 강화, 금융당국의 컨트롤 등 측면에서 더 유리하다”며 “하지만 분명 탈중앙 거래소에 대한 수요가 있고 앞으로 기술이 발전하면 사용성이 개선된 탈중앙 거래소도 나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수정 기자 suj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