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폐공사는 GKD의 지난 상반기 경영실적을 결산한 결과 매출이 1060만달러(약 119억원)로 1000만달러를 넘어섰으며, 순이익은 연간 목표(248만달러)를 초과한 250만달러(약 28억원)로 잠정 집계됐다고 6일 밝혔다. 매출액 대비 순이익률은 전년 대비 14.7%포인트 상승한 23.6%로 수익성도 크게 좋아졌다.
GKD는 지난 6월말 현재 연간 목표 판매량의 94%를 수주, 계약을 완료한 상태로 이 추세대로라면 올해 사상 최대의 매출과 순이익을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같은 실적은 수출 시장을 동남아 유럽 등지로 다변화하고 면펄프 제품을 지폐제조용 뿐만 아니라 석유화학용 등으로 다양화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GKD의 면펄프는 유럽 등 선진 조폐기관에서 만드는 은행권 용지에 사용될 정도로 품질을 인정받고 있으며, 세계 10여개국에 수출되고 있다.
조폐공사는 GKD의 안정적인 사업량 확보를 위해 은행권용 외에 화학용, 위생용 및 기타 산업용에 활용 가능한 면펄프 제품을 국내 유수의 제지 및 화학 전문 기업과 공동 개발해 납품중이다.
이와 함께 원가절감, 품질 및 생산성 향상, 고객맞춤형 영업활동 등 경영혁신도 한몫 했다.
조폐공사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은행권 용지 원료인 면펄프를 안정적으로 조달하기 위해 2010년 9월 자본금 1100만달러(조폐공사 지분 65%, 포스코대우 35%)를 투자해 우즈베키스탄에 GKD를 설립한 바 있다.
원료 가격의 급등 등으로 설립 이후 2013년까지 적자를 보였던 GKD는 2014년 흑자로 전환, 지난해 2330만달러 매출에 207만달러의 순이익을 내는 등 지금까지 흑자경영 기조를 이어오고 있다.
조폐공사 조용만 사장은 “GKD는 한때 경영이 어려웠으나 이제는 우즈벡 진출 성공 기업으로 꼽히고 있다”며 “앞으로 해외 영업 전진기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성장시키겠다”고 밝혔다.
박경배 기자 pkb@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