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KB국민카드는 1686억원을 기록해 전년동기대비 161억원 증가했으며, 우리카드도 676억원을 기록 전년동기대비 57억원 늘어났다. 신한카드는 2819억원으로 작년 상반기보다 3493억원 줄어들어 감소폭이 가장 컸다. 하나카드는 235억원 줄어든 516억원을 기록했다.
우리카드와 KB국민카드는 수수료 인하 여파 속에서 나름 선방했지만 일회성 요인을 제외하면 소폭 감소했다. 우리카드와 KB국민카드는 상반기에 캠코 배드뱅크 채권매각 배당금이라는 일회성 이익이 반영됐다.
우리카드 관계자는 "배드뱅크 배당금 규모는 96억원으로 일회성 이익이 반영해 작년보다는 이익이 증가했다"며 "일회성 이익을 제외하면 감소했지만 사내 프로세스 개선, 비용 절감 등의 노력으로 수수료 인하분을 상쇄해 전년 수준 이익을 유지했다"고 말했다.
KB국민카드도 배당금 규모가 370억원으로 이를 제외하면 작년 상반기보다 40여억원이 줄었다.
KB국민카드 관계자는 "배당금이 370억원 가량 이익에 반영됐고 이를 제외하면 40여억원이 감소한다"며 "수수료 인하, 대출 총량규제 등 업황 규제가 강화되면서 이익을 낼 수 있는 여력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하나카드도 516억원에 21억원의 배당금이 반영됐다. 다만 작년 715억원 이익에 채권매각이익 312억원을 제외하면 전년보다 26억원 가량 증가해 전년 수준을 유지했다.
하나카드 관계자는 "작년 일회성 요인이 많아 이익이 많이 났고 올해도 배당금이라는 일회성 이익이 있지만 21억원으로 적다"며 "이를 제외하고 본다면 전년 수준을 유지했다"고 말했다.
업계 1위인 신한카드는 작년 상반기 6312억원이라는 높은 이익을 기록했지만 2748억원의 충당금 환입이 이익 수성의 결정적 역할을 했다. 이를 제외하면 올해 상반기에는 작년보다 248억원이 감소했다.
카드사들은 올해 추가 수수료 인하, 수수료 0원일 제로페이 등의 정부 정책으로 수익성 악화를 우려하고 있다. 금융당국에서는 최저임금 상승으로 소상공인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선 카드 수수료를 인하할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수수료를 인하하는 대신 규제를 완화해 카드사가 신용평가를 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겠다는 방침이다.
최종구닫기

카드사들은 더이상 추가 수수료 인하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더 인하할 경우 카드사가 망한다는 위기감까지 가지고 있다. 김덕수 여신금융협회장은 지난 24일 카드사 CEO들과 긴급회동을 가지고 수수료 인하에 관한 입장을 정리했다. 해당 입장은 국회와 금융당국에 전달할 예정이다.
전하경 기자 ceciplus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