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정부는 혁신도시 내 산·학·연 협의체 구축 및 자족 기능을 갖춘 대단위 클러스터 조성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이런 과정들을 거쳐 혁신도시를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신성장 거점이자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살고 싶은’ 도시로 육성하겠다는 전략이다.
지역의 균형 발전을 위한 정부의 고민은 오래 전부터 이어져 왔다. 과거 수도권 중심의 발전 전략에 기반한 고도의 압축 성장으로 ‘경제 기적’을 이루는 데는 성공했지만, ‘수도권 과밀과 지방의 침체’라는 국토의 양극화가 시작된 데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1970년대 이후부터 다양한 정책을 펼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다. 1973년부터 1990년까지 3차례에 걸쳐 시행된 ‘서울 인구 분산 시책’이 대표적이다. 당시 정부는 이전이 용이한 소규모 국가 연구 기관이나 청 단위 부처를 지방으로 이전하며 지역 발전을 도모했다.
대규모 공공기관 지방 이전을 통한 이른바 ‘혁신도시’ 구축의 밑그림을 그린 것은 참여정부 시절인 2003년이다. 공공기관 이전을 통해 지역 전략산업과 혁신 클러스터 육성을 지원, 지방에 자립적 발전 계기를 제공하는 것이 취지였다.
이후 정부는 ‘공공기관 지방 이전’의 법적 근거 등을 마련한 뒤 2005년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공공기관 지방 이전 계획’을 공식적으로 내놓았다. 2007년 10개 혁신도시 지구 지정을 완료한 뒤 이전 대상 공공기관 지방 이전 계획 등을 승인(혁신도시 115개, 개별 이전 19개, 세종시 19개)하며 활발하게 혁신도시 구축을 진행해왔다.
그 결과 현재 공공기관의 이전을 핵심으로 하는 혁신도시 구축은 대부분 완성된 상태다. 당초 계획했던 바와 같이 115개 공공기관이 10개 혁신도시로 흩어져 지난해 말 이전을 완료했다.
다만 그간 혁신도시 정책이 지역별로 부지를 개발하고 공공기관을 이전하는 데 역점을 기울이다 보니 도시의 정주 환경이나 기업 유치 측면에서 문제점이 제기된 상태다.
국토부에 따르면 이전 기관 직원들의 가족 동반 이주율은 대략 50%대로, 교육·의료·문화·복지 등 인프라 시설이 부족한 것이 원인으로 꼽힌다.
문재인 정부가 ‘혁신도시 시즌2’ 구상을 내놓은 것도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다. 공공기관 지방 이전에만 초점을 맞추던 기존 정책에서 벗어나 혁신도시 발전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개정안에 따라 공공기관 이전을 위한 컨트롤타워 역할을 했던 ‘공공기관지방이전추진단’은 ‘혁신도시발전추진단’으로 명칭을 바꾼 상태다.
조직 구성은 국토부 2차관을 단장으로 내부에 6개과 총 34명 규모로 구성돼 이전과 같다. 추진단은 혁신도시 정주 인프라 개선 등의 업무를 담당하면서 산·학·연 클러스터 활성화와 지역 생활권 내 상생 발전·협력 등을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통해 각각의 혁신도시들은 고유한 테마에 맞는 이른바 ‘스마트 혁신도시’로 거듭나도록 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올해 6월까지 시·도별 발전 계획을 수렴하고 10월까지 혁신도시별 발전 테마를 담은 종합 발전 계획을 수립할 것으로 알려졌다.
류승한 국토연구원 산업입지연구센터장은 “국제적으로 경쟁력 있는 혁신도시를 만들기 위해선 연구·개발 기능과 생산·업무 기능 강화가 중요하다”며 “아직 가용 토지가 남아 있는 혁신도시 지자체는 각종 연구 기관과 기업 유치를 위한 활동을 더욱 활발히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본 기사는 한국금융신문에서 발행하는 '재테크 전문 매거진'<웰스매니지먼트 7월호>'에 게재되었습니다.
김민정 기자 minj@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