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제공=한국은행
한국은행과 기획재정부가 4일 발표한 '2018년 6월말 외환보유액'에 따르면 지난 달 말 기준 외환보유액은 4000억3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전월 말(3892억7000만달러) 대비 13억2000만달러 증가한 수치다.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이 4000억원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 1997년 외환위기 이후 ▲2001년 9월 1000억달러 ▲2005년 2월 2000억달러 ▲2011년 4월 3000억달러를 넘어선 이후 7년 2개월만에 4000억달러대에 진입한 것이다.
외환보유액 증가는 외화자산 운용수익이 크게 늘어난 데 영향을 받았다. 한은 관계자는 "지난달 달러화 강세로 기타통화가 약세를 나타냈지만, 기본적으로 운용수익이 증가세를 유지하면서 외환보유액 규모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자산별로는 국채와 정부채, 회사채, 자산유동화증권(MBS) 등 유가증권이 3679억1000만달러로 91.9%를 차지했다. 나머지는 예치금이 224억2000만달러(5.6%), 국제통화기금(IMF)의 특별인출권인 SDR이 32억6000만달러(0.8%), IMF포지션(IMF 회원국이 출자금 납부로 보유한 교환성 통화를 수시로 찾을 수 있는 권리)이 19억1000만달러(0.5%), 금이 47억9000만달러(1.2%) 등 순이었다.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5월 말 기준 중국, 일본, 스위스, 사우디아라비아, 대만, 러시아, 홍콩, 인도에 이어 세계 9위 수준이다. 한은 관계자는 "IMF에서 내놓는 평가 기준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적정 범위 내에 있다"고 평가했다.
구혜린 기자 hrgu@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