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리얼미터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리얼미터가 CBS 의뢰로 지난 8일 전국 성인 500명을 상대로 근로시간 단축에 대한 국민 인식을 조사한 결과 국민 2명중 1명은 근로시간 단축이 ‘바람직하다’고 답했다.
세부적으로 ‘삶의 질을 높이고 일자리가 늘어날 것이므로 바람직하다’는 응답이 51.7%, ‘산업 생산력이 낮아지고 비용이 상승할 것이므로 바람직하지 않다’는 응답은 31.6%, ‘잘 모름’은 16.7%로 집계됐다.
직업별로는 사무직(긍정적 64.6%, 부정적 22.3%)과 학생(58.3%, 18.7%)이 주 52시간 근로시간 단축에 대한 긍정이었고 농림어업(긍정적 37.8%, 부정적 42.0%)과 자영업(46.7%, 40.9%)에서는 의견이 팽팽했다.
반면 노동직(긍정적 39.8%, 부정적 50.2%)과 가정주부(긍정적 35.7%, 부정적 40.3%)에서는 부정적 인식이 우세했다.
연령별로는 60대 이상(긍정적 28.0%, 부정적 48.4%)에서 부정적인 시선이 많았고 그 외를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긍정적으로 보는 인식이 우세했다. 30대(긍정적 68.6%, 부정적 18.3%)와 40대(65.8%, 24.7%)에서는 3명 중 2명 이상의 대다수가 긍정적으로 생각했고, 이어 20대(59.2%, 17.0%)와 50대(46.1%, 41.7%) 순으로 긍정적 인식이 높았다.
지역별로는 경기·인천(긍정적 58.7%), 대전·충청·세종(56.8%), 서울(52.2%), 부산·경남·울산(50.8%), 광주·전라(48.1%) 순으로 긍정적 인식이 높았다. 대구·경북(긍정적 36.6%, 부정적 48.3%)에서는 부정적 인식이 높았다.
이념성향별로는 진보층(긍정적 65.3%)과 중도층(54.4%)에서 긍정적 인식이 높았고, 보수층(긍정적 36.2%, 부정적 52.5%)에서는 부정적 인식이 많았다.
김승한 기자 shk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