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제윤 전 금융위원장 / 사진출처= 금융위원회
신제윤 전 위원장은 29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한국금융연구원, 아시아금융학회가 공동 주최한 '한미 환율협상과 외환시장 안정정책의 과제' 정책세미나 기조강연에서 "정책조합 수단 중에서 환율을 가장 중시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신제윤 전 위원장은 "급격한 환율 변동은 절상이든 절하든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어떤 다른 경제요인보다 크다"고 봤다. 전 세계 금융위기가 외환시장에서 시작해 실물경제 침체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그래서 신제윤 전 위원장은 "물가나 성장, 고용을 위해 인위적으로 환율을 이용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강조했다. 정치적 목적이나 특정집단의 이익을 위해 외환시장에 개입하는 것은 금융위기의 직접적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봤다.
한국은 경제구조 상 정유, 조선 등 대규모 외환이 한꺼번에 거래되는 업종이 주류를 이루는 만큼 외환시장이 이를 흡수할 수 없다는 특징도 짚었다.
신제윤 전 위원장은 "외환당국이 적절히 시장에 시그널을 줘야 하고 필요할 때에는 과감하게 외환시장에 개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외환시장 개입은 1997년 홍콩 사례와 같이 단기에 과감하고 충분하게 해야 하고, 이는 외환당국의 전문성에 의지할 수밖에 없다고 봤다.
아울러 외환시장 개입 내역 공개 결정 관련, 신제윤 전 위원장은 "일본 재무성과 같이 우리 외환당국도 주요 국가의 외환당국과 협조채널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