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9일 서울 광화문 인근 음식점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기자들과 질의응답하고 있다. (자료사진= 금융위원회)

최종구 위원장은 이날 정부서울청사 인근 한 음식점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일반은행들이 여론 때문에 퇴직금을 많이 못 줘서 희망퇴직이 잘 안된다"며 "이달 말 시중은행장 간담회 자리에서 (희망퇴직 권장 관련) 이같은 메시지를 낼 것"이라고 밝혔다.
최종구 위원장은 "퇴직금 많이 줘야 받는 사람도 알아서 할 것"이라며 "눈치보며 지내는 것보다 퇴직금을 받아 새로운 사업 할 수 있게 해주는 게 낫다"고 설명했다.
금융공기업도 퇴직금을 올려 희망퇴직을 유도해야 한다고 했다. 최종구 위원장은 "현재 금융공기업 퇴직금이 2~3억원 안팎인데 이 돈을 받을 바에는 그냥 조직에 남는다고 한다"며 "금융공기업은 특히 임금피크제에 빨리 들어가서 한창 일할 때 임금이 깎여서 조직에 있는데 서로 불편한 것"이라고 말했다.
희망퇴직을 통해 신규 채용을 늘리는 게 목표다. 최종구 위원장은 "퇴직금을 많이 줘서 희망퇴직을 하면 10명 퇴직 때 7명의 젊은 사람을 채용할 수 있다"고 예를 들었다.
최종구 위원장은 "희망을 가질 수 있도록 여건을 만들어주는 게 중요하고 그게 퇴직금"이라며 "일반은행에도 권장할 예정으로 인센티브 방안도 검토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금융위원회는 현재 민간 금융회사도 일자리 창출 기여도에 따라 경영공시 등에서 가점을 받을 수 있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공공기관의 경우 경영실적 평가에 일자리 창출 기여도가 포함되는데, 민간 금융사에도 고용 장려지표를 도입하는 것이다. 업권 특성을 감안해 신규 고용수, 명예퇴직의 신규고용 연계율 등이 포함될 예정이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