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2016년 국민계정(확정)・2017년 국민계정(잠정)'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NI는 2만9745달러(약 3363만6000원)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도 2만7681달러(약 3212만4000원)에서 7.5%(원화 기준 4.7%) 증가한 수치다. 1인당 GNI(달러화 기준) 증가율은 2011년(9.6%) 이래 6년 만에 가장 높았다.
1인당 GNI는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총소득을 인구로 나눈 통계로 국민의 생활 수준을 파악하는 지표로 사용된다. GNI가 3만달러가 되면 선진국에 진입한 것으로 인식돼왔다.
올해 한은의 전망대로 3% 성장률을 달성하고 원화가치가 급락하지 않는다면 1인당 GNI 3만달러 진입이 확실시된다. 한은은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잠정치를 연 3.1%로 발표한 바 있다.
지난해 명목 GDP는 1730조4000억원으로 전년보다 5.4% 증가했다. 이는 2010년 9.9% 이래 7년 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는 1만6573달러로 전년(1만5515 달러)에 비해 6.8% 증가했다. PGDI는 국민이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는 소득을 나타내는 지표다.
총저축률은 36.3%로 전년보다 0.2%포인트 상승해 1998년(38.0%) 이후 19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가계순저축률은 7.6%로 전년과 같은 수준이고 국내 총투자율은 31.2%로 2011년(32.9%) 이래 최고치다.
포괄적인 물가수준을 보여주는 GDP디플레이터(명목GDP/실질GDP·2010=100)는 2.3% 올랐다.
구혜린 기자 hrgu@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