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20일 서울 마포구 서울창업허브에 위치한 핀테크지원센터를 방문해 핀테크 기업인, 예비창업자, 금융회사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열었다. / 사진= 금융위원회

최종구 위원장은 이날 경기도 성남 판교 제2테크노밸리 핀테크지원센터에서 열린 핀테크 기업인, 예비창업자와의 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금융위는 이날 혁신적 금융서비스 실험과 지원을 위해 특례를 적용하는 '금융혁신지원특별법' 제정을 추진하는 등 '핀테크 혁신 활성화 방안'을 내놨다.
모바일 결제의 경우 내년까지 수수료가 적고 간편한 계좌 기반의 모바일결제 활성화와 인센티브 부여를 검토키로 했다.
전자 금융업자들이 별도 단말기나 VAN망 등이 불필요한 앱투앱(App-to-App) 계좌결제서비스 사업에 진출토록 사업기반 조성을 지원하는 것이다.
또 최종구 위원장은 "종래의 대출 중심의 핀테크 자금지원에서 민간투자 중심으로 개편될 수 있도록 마중물 역할을 하는 핀테크 특화 펀드를 조성‧운영하겠다"고 말했다.
생체인증 기술, 인공지능(AI) 등 핀테크를 활용할 수 있는 자산관리, 보험서비스 등의 고도화에 필요한 규제 개선도 추진키로 했다.
최종구 위원장은 "예를 들어, 온라인 투자일임‧신탁 등 비대면 계약 체결이 허용되는 금융투자상품의 범위를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간편결제, 빅데이터, 블록체인 등 새롭게 나타난 신기술의 금융서비스 융합도 촉진키로 했다.
최종구 위원장은 "민간의 기술개발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오픈 API, 블록체인 테스트베드 인프라를 구축‧강화하고, 모바일결제‧빅데이터 관련 제도 개선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금융권 보안 지원체계도 강화한다.
최종구 위원장은 "보안분야에 AI, 빅데이터 분석 등 레크테크 기술을 적용해 금융혁신에 따른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관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또 금융산업 간 핀테크 정책을 조율하고 대외 소통창구 역할을 수행할 책임자도 두기로 했다. 최종구 위원장은 "금융위 내에 '최고핀테크책임자(CFO, Chief Fintech Officer)를 지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