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동차를 구입하면 소유자는 의무적으로 5가지를 보장하는 보험에 가입해야 합니다. 첫째는 운전자가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준 경우 인적피해를 보상해야 하고 자동차나 건물, 물품 등에 피해를 준 경우 물적피해를 보상 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 다음은 운전자 본인도 자기신체사고나 자기 차량손해, 그리고 무보험차에 의해 상해를 입은 경우 보상을 받을 수 있어야 하는데 이것을 기본담보라고 합니다.
2. 특약은 그 외의 것을 담보하는 것일 텐데 특약에는 어떤 내용들이 있나요?
기본적으로 5가지 보장을 받는다 해도 운전자의 경력에 따라서는 사고위험이 높거나 보상이 적은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때는 보상금액을 높일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새로운 보장이 나오면 그 보험을 추가하기도 하고요.
반면에 필요이상으로 높은 보험료에 대해서는 특약을 통해서 자신에게 맞게 조절하는 제도도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만 잘 활용해도 보험료를 많이 줄 일수가 있습니다.
3. 구체적으로 특약으로 줄일 수 있는 사례는 어떤 것이 있나요?
1년에 자동차 운전을 2만km이하로 운행 한다면, 마일리지 특약이나 승용차요일제 특약에 가입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예를 들면 회사마다 차이가 있긴 하지만, 운행거리가 짧을수록 최대 42%까지 보험료를 할인 받을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요즘처럼 직장인들이 자동차를 주말만 이용한다면 요일제 특약에 가입해서 8-9%를 할인 받을 수가 있고요. 그러면 보험료가 많이 절약되지요.
4. 보통 운전자 범위는 가족한정을 많이 하는데 더 좋은 방법이 있나요?
5. 자녀가 어리거나 임신 중인 경우에도 보험료를 할인 받을 수가 있나요?
있습니다. 운전자 본인이나 배우자가 임신 중이거나 자녀가 만 5세에서 9세 이하면 보험료를 할인 받을 수 있습니다. 이것은 보험계약 후에도 가능한데, 자녀할인특약에 가입하면 4-10%의 보험료를 할인 받을 수 있으니까 좋습니다. 물론 보험사마다 차이는 있지만 이 제도는 안전운전을 유도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특약이니까 잘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허과현 기자 hk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