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흥식 금융감독원장은 13일 열린 조찬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최 원장은 금융지주사 회장들이 회추위 현장에 들어가고 후계자를 양성하지 않는 등 선임과정에서 적절치 못한 부분이 있다고 지적했다.
최흥식 원장은 "금융지주사에서 후보군 추천이나 내부 후계자 양성 프로그램이 전혀 없다"며 "금융지주 회장이라면 여러 금융 분야 경험이 있어야하는데 후계자에게 충분한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주지 않고 경험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후계자에서 배제시킨다"고 말했다
금융회사 CEO를 결정할 때 사외이사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원장은 "금융지주 회장이 회추위에서 나와서 사외이사 중심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며 "올해 몇개 지주사 사외이사에게 감독원 임원이 해당사안을 설명했지만 부족한점이 있어 전체적으로 돌아보고 정확히 이행됐는지 살펴보겠다"고 말했다.
지배구조에 문제가 있을 경우 금융회사 건전성에도 나쁜 영향을 미친다고 진단했다.
최흥식 원장은 "예를 들어 한 은행이 무너지면 자기자산을 잃어버리고 지급결제도 안되는 등 내부 리스크가 발생한다"며 "금융회사 건전성 유지는 사람의 문제인 만큼 그것을 담당하는 사람들이 객관적이고 공정하고 투명한 절차에 의해 선임되어야 금융회사가 리스크를 부담할 가능성이 낮아진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 원장은 "지배구조와 관련해 특정 지주사를 겨냥한 발언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전하경 기자 ceciplus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