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업계는 당국의 정책 방향에 대해 주목하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복합점포가 도입되도 결국 대형사 배불리기에 그칠 것이라는 지적도 제기된다. 보험사가 직접 은행에 입점하는 만큼 높은 임대료와 관리비, 인건비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지난 7월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아 공개한 ‘복합점포 보험판매 현황’에 따르면 시범운영기간동안 10곳의 복합점포를 통해 판매된 보험계약 건수는 950여건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점포 한 곳 당 9건에 불과한 수준이다.
복합점포는 방카슈랑스와 달리 보험사 직원이 상주하고 있다. 상품에 대해 적극적으로 상담하고 안내가 가능한 보험 전담 인력인 것이다. 그러나 현행 규제상 이들은 복합점포 내 보험 창구에서만 상담과 상품판매가 가능하다. 설계사들처럼 고객을 찾아가서 영업하고 판촉하는 등 아웃바운드가 금지돼 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보험 상품은 한번 와서 설명 듣고 바로 가입하는 게 아니라 소비자에게 어떤 보장이 필요한지, 어떤 상품이 적정한지 현재 상황을 파악하고 설계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며 “고객을 설득해 니즈 환기가 필요한 영업인데 아웃바운드를 금지한다는 건 팔지 말라는 소리”라고 지적했다.
또다른 관계자 역시 ‘칸막이 규제’를 가장 큰 문제점으로 꼽았다. 고객을 컨택할 수 있도록 경우의 수를 만들어줘야 하는데 이를 막아놓고 영업하려니 한계가 있다는 설명이다.
관계자는 “보험·은행·증권의 칸막이 규제를 없애서 같이 세일즈할 수 있게 해야 한다”며 “영업이 가능한 경우의 수가 없다면 결국 아무리 규제를 풀어줘도 조삼모사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금융권이 입을 모아 규제 완화를 주장하는 가운데 복합점포가 활성화되도 최대 수혜자는 결국 삼성·한화 등 대형 보험사일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아웃바운드가 많은 보험업 특성상 보험사 점포는 비역세권이나 고층에 많이 위치하고 있다. 고객이 찾아오는 일이 드물기 때문에 큰 임대료를 부담할 이유가 적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한 점포당 연간 1~2억 가량이 투입되야 하기 때문에 규제가 풀린다고 해도 우후죽순으로 생기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며 “자본력이 있는 대형 보험사들만이 초반에 본격적으로 뛰어들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을 내놨다.
김민경 기자 aromomo@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