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2014년 기준 국내 오픈마켓 점유율은 G마켓이 38.5%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11번가(32.3%)와 옥션(26.1%)이 그 뒤를 잇고 있다. G마켓과 옥션은 이베이코리아가 함께 운영하고 있어 SK플래닛의 11번가는 ‘만년 2등’을 벗어나지 못하는 상황이다.
거래액을 기준으로 놓고 봐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11번가의 지난해 거래액은 6조 8000억원이며 이베이코리아는 14조원에 달하는 추산된다.
영업이익을 들여다보면 차이는 더욱 두드러진다. 11번가는 지난해 약 1800억원의 적자를 낸 것으로 추정되는 반면 이베이코리아는 규모의 경제를 앞세워 온라인쇼핑몰 중 유일한 흑자(670억원)를 기록했다. 최근까지 롯데·신세계와 투자유치 협상을 벌였던 SK플래닛에게 ‘전환점’이 절실한 이유다.

더욱이 소셜커머스 업체들의 사업모델 변환도 SK플래닛이 사업 강화를 서두르는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앞서 쿠팡은 소셜커머스 서비스를 종료하고 직매입·직배송을 내세운 이커머스 기업으로의 변신을 선언했다. 티몬은 기존 오픈마켓 형식보다 진화한 관리형 ‘마켓플레이스(Managed Market Place)’를 통해 오는 2019년에는 흑자달성을 이루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한 오픈마켓 관계자는 “소비자도 소셜커머스와 오픈마켓 자체를 구분하고 있지 않는 것 같아 차별점이 사라지고 있다”고 말했다.
롯데와 신세계의 입장에서도 11번가와의 합작은 오프라인채널 부진의 탈출구로 가는 지름길이 될 수 있다는 평가다. 임영록 신세계프라퍼티 대표이사는 스타필드 고양 프리오픈 기자간담회에서 “스타필드의 경쟁상대는 온라인 마켓이라고 생각 한다”며 위기감을 드러낸 바 있다.
산업자원통상부가 발표한 ‘2017년 8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에 따르면 대형마트와 백화점 등 오프라인 유통업체는 전년대비 매출이 0.4% 증가에 그친 반면 온라인 유통업체는 13.1%의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하며 차이가 극명하게 엇갈렸다.
롯데그룹 역시 롯데지주 주식회사 출범식에서 “온라인 전략은 내부적으로 각각의 산업에 대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부분이 있다”며 “외부적으로도 협업하거나 제휴 기회가 있으면 계속적으로 볼 것”이라고 밝혔다
신미진 기자 mjsh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