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열린 ‘최순실 게이트’ 국정조사 1차 청문회에선 미르·K스포츠재단 설립으로 전경련이 정경유착 통로로 활용된 사실이 재차 확인됐다. 당연히 해체 여론이 거세다. 당장 삼성·현대차·SK·LG그룹이 전경련 탈퇴를 공식화했다. 창립 55년만에 전경련은 사상 최대의 존폐기로에 놓였다.
문제는 수장인 허창수 전경련 회장이 이를 방조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허 회장은 미르·K스포츠재단 설립 마무리 단계에서 이승철 부회장에게 보고를 받았다고 증언했다. 보고 과정에서 기업들에게 어떤 식으로 기금을 모금했는지, 청와대의 요청을 받았는지를 설명 들었다고 답했다.
즉, 그간 ‘묵묵부답’했던 허 회장이 미르·K스포츠 재단 설립에 있어 모든 과정을 알고 있었다는 얘기다. 알고 있으면서도 그는 방조했다. 이승철 부회장이 안종범 전 청와대 정무수석과 공모해 강압적인 방식으로 기금을 모금하는 과정을 묵인했다.
그러면서 “청와대의 요청이 있으면 기업이 거절하기 어렵다”는 변명을 이승철 부회장과 함께 강조한다. 어쩔 수 없다는 얘기다. 대한민국 최고 권력의 외압을 '재계 맏형'으로서 버티기 어렵다는 의미다.
그럴 수 있다. 정경유착 관행을 지속적으로 방조한 전경련의 수장은 그렇게 말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의 전경련 해체 여론은 스스로가 자초한 것이다.
허 회장은 6일 1차 청문회 마지막 소회에서 “신뢰받는 전경련이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허 회장의 임기는 얼마 남지 않았다. 내년 2월이면 종료된다. 사실상 2개월이 남았다. 미르·K스포츠로 대표되는 현대판 ‘일해재단’ 사건을 방조한 허 회장이 6일 청문회 소회대로 남은기간 동안 환골탈태한 전경련을 만들어 주길 바라는 것은 무리일까.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