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일본도 IT, 로봇기술로 제조 최강국 부흥 계획
어느덧 세계는 4차 산업혁명이 화두다. 디지털, 빅데이터, 인공지능, 산업용 로봇, 3차원(3D) 프린터 등 생산 최적화기술이 산업의 제조방정식을 통째로 바꾸고 있다.
미국 미시간대 코렌 교수는 저서 `더 글로벌 매뉴팩처링 레볼루션`에서 21세기 들어 새로운 제조혁명이 일어나고 있다면서 지금까지의 소품종 대량생산방식이 다품종 대량생산 즉, 대량 맞춤형 생산방식으로 바뀌고 있다고 말한다.
이는 비용과 기술 때문에 어려웠던 다품종 대량생산이 최근 혁신 최적화기술의 등장으로 가능해지고 있다는 얘기다.
이 기술을 쓰면 인력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이 부문 경쟁력이 강한 미국, 독일 등 선진국들은 중국 등 개도국 추격을 뿌리칠 수 있는 절호의 찬스로 보고 제조업 활용에 속도전을 내고 있다.
미국은 2014년 3월 GE, IBM, 인텔, 시스코시스템스, AT&T 등 미국 제조기업 빅5가 인더스트리얼 인터넷 콘소시스템(IIC)을 설립했다. 가파(GAFA:구글, 애플, 페이스북, 아마존)로 대변되는 글로벌 IT강자와 시너지를 낼 경우 잠재력은 폭발적일 거라는 시장평가다.
게다가 미국은 셰일가스 혁명으로 에너지비용도 줄일 수 있어 해외로 나간 기업도 유턴하는 등 `제조업 부활` 분위기다. 독일은 제조업을 중시하는 전통적 제조 강국이다. 슈뢰더 정권에 이어 메르켈 정부가 일찌감치 2011년 11월 `하이테크 2020 계획`하에 4차 산업혁명을 국가프로젝트로 내걸었다.
독일이 말하는 4차 산업혁명은 최적화기술로 생산을 제어하고 공장과 공장을 인터넷과 인공지능을 통해 연결하는 스마트공장의 창조. 사물과 사물을 잇는 사물인터넷(IoT)도 적극 활용된다. 제조기업 움직임도 활발하다. 2013년 3월 지멘스, 보슈, 다임러, BMW, SAP 등 독일의 유수 기업들이 4차 산업혁명의 플랫폼을 구축해서 글로벌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중국과 일본도 발 빠르기는 마찬가지다. 중국의 만만디는 옛말이다. 13차 5개년 계획에서 독일의 4차 산업혁명을 벤치마킹한 `중국제조 2025 플랜`을 강조하고 있고, 특히 제조방정식을 효율적으로 바꾸기 위해 `인터넷플러스`라는 국가전략을 내세우고 있다.
인터넷플러스란 인터넷+기존산업의 의미로 예컨대 인터넷+유통산업은 전자상거래, 인터넷+금융은 핀테크(Fin+Tech)다. 즉, 인터넷 활용으로 기존산업의 생산성을 높여 경쟁력을 업그레이드한다는 생각이다. 일본도 `잃어버린 20년`을 만회하기 위해 총력전이다.
2013년 발표된 `일본재흥전략(Japan is Back)`은 아베총리의 `3가지 화살` 중 마지막 세 번째 화살이라고 한다. IT, 로봇기술 등의 개발로 제조 최강국이었던 일본을 다시 부흥시키겠단 계획이다.
세계가 이처럼 스피드 경쟁인 지금 우리는 어떤가. 물론 산업통상자원부가 2014년 `제조업 혁신 3.0 전략`을 발표, 2020년까지 1만개 중소·중견 기업을 스마트 공장으로 변모시키겠다는 야심찬 목표를 세웠다.
최근 들어선 국회 3당이 4차 산업혁명포럼을 발족했고 미래창조과학부를 중심으로 지능정보사회대책도 마련 중이다. 하지만 일각에선 국내 기업 중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하고 있는 기업은 10%에 불과해서 4차 산업혁명 준비순위로 보면 세계 25위로 미국의 5위, 일본 12위는 물론 대만 16위, 말레이시아 22위에도 뒤처져 있다고 한다.
업계에선 형식이 아닌 실질적인 정책수립, 또 시간이 없기 때문에 스피디한 정책집행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최적화기술은 제조 산업뿐만 아니라 3차 서비스산업도 O2O(Online to Offline) 비즈니스로 급격히 변화시킬 것이기 때문에 전자상거래, 핀테크, 원격의료 등 서비스산업의 구조개편도 속도를 늦추지 말고 지속될 필요가 있다.
관리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