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명보험회사의 M&A 현황/제공=보험연구원
24일 조영현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M&A에 의한 생명보험산업의 소유구조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에서 “우리나라 생명보험산업에 최근 이례적으로 M&A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며 “이에 따른 소유구조 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최근 5년간 녹십자생명·ING생명·우리아비바생명·동양생명·알리안츠생명 등 생명보험사 5곳의 M&A가 성사됐으며, 현재 KDB생명 등이 매각을 추진 중이다. 이처럼 업계 M&A가 활발해짐에 따라 생명보험산업의 소유구조가 변화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최근 M&A로 3개 생보사 소유구조가 바뀌어 서구계와 산업계 자본의 비중은 줄고 중국계의 비중이 커졌다.
2011년 총자산 기준 생명보험산업 15.5%를 차지했던 서구계는 비중이 8.3%로 줄었고, 중국계는 0%에서 5.4%로 증가했다. 산업계는 50.3%로 여전히 비중이 높지만, 2011년 53.7%에 비해서는 줄었다. 은행계는 15.0%에서 16.3%로 비중이 확대됐다.
조 연구위원은 “보험산업 규제 변화로 생명보험산업의 M&A가 더 활발해지고, 중국계와 은행계가 대형화되면서 비중을 높일 것”으로 전망했다.
조 위원은 “저금리와 자본규제 강화로 자본확충 요구가 강해지고, 이에 어려움을 겪는 일부 산업계·기타금융계·서구계 보험사는 매각될 가능성이 크다”며 “중국계 금융사와 은행계 지주사가 높은 자본력을 바탕으로 이를 인수해 새로운 경쟁구도가 형성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중국계 생보사는 기대수익률이 높은 중국 자산에 전문적으로 투자할 수 있으며, 핀테크에 기반한 온라인 보험사업에 적극적이라 새로운 경쟁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그는 “이에 맞춰 현재 주류인 산업계·기타금융계 생보사들은 상품과 자산운용의 글로벌화를 가속화해 도전에 맞서야 한다”고 조언했다.
박경린 기자 puddi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