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공=한국예탁결제원
한국예탁결제원은 14일 전자단기사채 발행 누적금액이 지난 13일 2004조원을 기록해, 2013년 1월 제도가 처음 도입된 이후 3년 여 만에 2000조원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이는 작년 7월 1000조원을 돌파한데 이어 11개월만이다.
일평균 발행금액(자금조달금액)은 2013년 2000억원에서 올해 4조4000억원으로 22배 가량 증가했다. 전자단기사채를 통해 자금을 조달한 회사도 2013년 377개사에서 올해 1558개사로 4배 이상 늘어났다.
전자단기사채는 기업 단기자금 조달을 위해 만기 1년 이하로 발행하는 사채로 발행, 유통, 권리행사 등이 전자적으로 처리된다. 콜시장에 편중된 단기자금 시장을 개편하는 목적 외에 전자증권 제도 도입을 위해 시범적으로 도입됐다.
예탁결제원은 “전자단기사채는 기업어음과 달리 전체 발행량, 발행회사별 발행한도, 발행잔액 등에 대해 종합 정보 획득이 가능해 투자자 보호에 기여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CP와 기일물콜은 2013~2015년 각각 9.5%, 15.4%씩 감소했지만 전자단기사채 발행은 지난 연 158%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업종별로 보면 증권회사가 가장 많은 1268조2000억원으로 전체 발행량의 63.4%를 기록했다. 7일 이내의 초단기발행이 대부분이었으며 콜차입 대체를 위한 목적으로 발행됐다. 카드회사와 캐피탈의 발행액은 총 364조5000억원으로 전체 발행량에서 18.2%의 비중을 차지했다. 기존 증권회사 위주의 전자단기사채 발행회사가 유통, 카드, 캐피탈회사 등으로 점진적인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게 예탁결제원의 분석이다.
예탁결제원 관계자는 “효율적인 전자단기사채 시스템 구축과 안정적 제도 운영은 향후 전면적인 전자증권 도입의 초석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지은 기자 bridge@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