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2012년부터 올해까지 5년간 12월 결산 상장사의 정기 주총 개최 현황을 분석한 결과 3월 21∼31일 열린 정기 주총이 7041회로 전체(8874회)의 79.3%를 차지했다.
시장별로 유가증권시장은 2425회(67.8%), 코스닥시장은 4420회(86.9%), 코넥스시장은 196회(92.4%)의 정기 주총을 이 기간에 연 것으로 집계됐다. 코스닥과 코넥스 시장의 정기 주총이 3월 하순에 더 몰려 있다. 올해의 경우 3월 마지막 금요일인 25일에 상장사 814곳(41.4%)이 정기 주총을 열었다.
상장사가 3월 마지막 주 다음으로 선호하는 주총일은 '3월 11∼20일'로 이 기간 열린 주총은 1578회(17.8%)였다. 정기 주총 개최 요일은 금요일이 6270회(70.7%)로 압도적으로 많았고, 다음으로 목요일(822회, 9.3%)이 그 뒤를 이었다.
올해는 수요일에 열린 주총이 작년 49회보다 504.1% 는 296회를 기록했다. 이는 상장사 269곳이 수요일인 지난 3월30일에 정기 주총을 열었기 때문인 것으로 예상된다.
정기 주총 개최 시각은 오전 9시 4690회(52.9%)로 절반을 넘어섰고, 오전 10시가 3132회(35.3%)로 그 뒤를 이었다.
주총 장소는 여전히 수도권에서 개최되는 경향을 보였다. 최근 5년간 정기 주총의 40.9%(3630회)가 서울에서, 27.0%(2396회)가 경기에서 각각 열렸다. 특히 유가증권시장의 경우 서울에서 53.1%인 1899회가 열려 서울 집중도가 높은 모습이다.
올해 서울과 경기에서 열린 주총은 각각 802회와 532회이다. 작년에 서울 737회, 경기 487회 열린 것에 비해 8.8%, 9.2%가 늘어났다.
다만 5년 전과 비교해 광주(125.0%), 대전(63%), 충북(34.0%), 충남(14.7%) 등의 지역에서 주총이 열린 횟수는 증가했다.
김지은 기자 bridge@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