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은 귀농·귀촌인의 안정적인 농촌 사회 정착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해에 이어 ‘2년차 귀농·귀촌인 장기 추적 조사’를 실시했다며 8일 이같이 밝혔다.
귀농·귀촌인들은 스스로 사회경제적 기여에 대해 △인구 증가(56.8%)’를 가장 높이 평가했다. 이어 △농산물 부가가치 향상(36.5%) △지역사회 발전(36.2%) △도농교류 활성화(35.3%) △후계인력 확보(35.2%) △혁신과 변화(31.6%) △삶의 질 증진(31.4%) △교육환경 개선(29.5%) △마을공동체 회복’(22.0%) 순으로 응답했다.
지역주민들이 생각하는 귀농·귀촌인의 증가로 지역사회의 긍정적인 변화(복수응답)는 △농어촌 마을의 인구와 활력 유지(62.8%)였다. 이어 △영농에 종사할 인력의 확보(27.9%) △지역을 위해 일할 재능 있는 인재 확보(20.0%) △땅값 상승 등 주민 재산 가치 증대(17.9%) △지방세 등 지역의 세금 수입 증대(6.7%) 등을 들었다.
귀농·귀촌인의 증가에 따른 부정적인 변화는 △기존 주민과 갈등(37.4%) △기존 주민과 격리된 생활로 위화감 조성(35.7%) △귀농·귀촌인의 불필요한 민원 증가(24.9%) △기존 주민들의 자존심과 자부심에 상처(14.9%) △땅값 상승으로 농지 부족 초래(14.6%) △지역공동체의식의 약화(14.3%) 등으로 나타났다.
지역주민들의 귀농·귀촌인에 대한 태도 조사에서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더 호의적이었으며, 전체적으로 △호의적인 편(25.7%) △부정적인 편(29.2%) △보통(45.1%) 순으로 응답했다.
농촌진흥청 농촌환경자원과 최윤닫기최윤기사 모아보기지 농업연구관은 “귀농·귀촌인이 농촌 사회의 활력소가 될 수 있도록 역할 확대 방안을 마련하고, 기존 주민과 어우러질 수 있는 문화 조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수남 기자 perec@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