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개발 잠재력이 충분하지만 그동안 각종 규제로 제약이 많았던 역세권에 대한 고밀도 개발을 본격화한가. 서울 역사. 정수남 기자
이 사업은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하고 마트, 어린이집 같은 서비스시설과 도로, 상하수도 같은 도시 인프라가 이미 잘 갖춰져 있는 역세권에 주거·업무·상업시설이 맞춤형으로 들어설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우선 시는 관련 부서, SH공사, 서울연구원, 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도시·건축 현안 태스크포스(TF)’를 구성, 저성장과 인구감소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도시·건축분야의 이슈와 과제들을 검토한다.
TF는 ‘역세권 기능 재정립과 활성화 실현방안’ 연구용역을 추진하고, 관내 291개 역세권은 물론, 신설 예정인 역세권 일대를 조사해 유형별 개발 방향과 도시계획적 지원방안을 수립한다.
TF는 고밀도 개발에 따른 효과가 기대되는 대상지를 선별, 대상지별로 실제 적용 가능한 구체적인 사업모델까지 포함하는 ‘역세권 개발 종합 패키지’를 올해 안에 발표할 계획이다.
이밖에도 TF는 연구 용역을 통해 △대중교통 중심의 도시공간구조 재편 방향 정립 △도시활동과 잠재력을 고려한 역세권 관리방향 설정 △역세권 고밀개발 대상지 선정과 용도지역 조정 제도화 방안 △사업 추진을 위한 제도 개선방안 △SH공사 참여, 토지신탁 등 맞춤형 사업모델 등을 마련할 예정이다.
김학진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시는 성장시대에 소외된 가치들을 바로세우는 동시에 활성화할 곳은 활성화하는 유연하고 능동적인 도시계획을 병행할 것”이라며 “역세권에 일자리가 늘고 주거공간이 확대돼 시민 생활의 중심이 되고, 지역경제 활성화로도 이어질 수 있도록 전력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정수남 기자 perec@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