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 '인천상륙작전' 프로모션 이미지
영화계에서는 이미 크라우드 펀딩으로 영화가 제작된 바 있다. 그러나 크라우드 펀딩으로 제작된 '귀향', '연평해전' 등의 영화는 기부형 크라우드펀딩 형태로 제작된 것이다. 수익을 목표로 한 증권형 크라우드 펀딩으로 영화가 제작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기부형 크라우드 펀딩은 돈을 내고 영화 표를 받는 방식이지만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은 기존 금융권에서 대출받기 어려운 신생 벤처기업인 스타트업과 벤처 창업자 등에게 온라인 소액투자 중개업자의 홈페이지를 통해 투자자를 모집, 사업 자금을 지원해 주는 제도다. 자금공급에 대한 반대급부로 주식이나 채권 등 증권이 주어지는 방식이다.
IBK투자증권은 지난주 온라인 소액투자 중개업자 등록을 마치고 증권형 크라우드 펀딩 시장에 발을 내딛었다. IBK투자증권은 등록 이후 21일 크라우드 펀딩 홈페이지를 개설하고 ‘인천상륙작전’ 총 제작비 160억원 중 5억원의 자금을 이 제도를 통해 모금하기 시작했다.이익참가부사채, 즉 이익 분배에 참가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채권 형태로 자금을 조달한다.
투자금 상환은 관객 수에 따라 달리 지급된다. 인천상륙작전의 경우 손익분기점은 관객 수 500만명으로 이 수가 넘어야 투자자들에게 수익 지급이 이뤄진다. 관객 수 500만명을 기점으로 투자자들은 수익률 5.6%로 투자금을 돌려받는다. 초과 관객 수에 따라 추가 수익금이 지급되고 1000만명을 넘을 경우 수익률은 최고 54.6%로 높아진다.
일반투자자의 크라우드 펀딩 한도액은 기업당 200만원, 연간 총 500만원이다. 인천상륙작전에 개인이 최대 투자할 수 있는 200만원의 금액을 모두 투자했다고 가정했을 때, 관객 수가 1000만명이 넘는다면 투자자는 309만2000원을 돌려받는 셈이다.
그러나 손익분기점인 500만명을 못 넘길 경우에는 관객수 구간별로 원금 손실을 볼 수 있다. 200만명 미만일 때의 손실률은 80%이다.
IBK투자증권은 현재 크라우드펀딩 홈페이지를 통해 '인천상륙작전'을 비롯해 풍력발전 기업 오딘에너지, 보안솔루션 업체 아이서티의 투자 모집을 진행하고 있다. IBK투자증권은 올해 20개 기업을 대상으로 60억원 가량의 크라우드펀딩을 성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투자를 하고 싶다면 중개업자 홈페이지에서 회원으로 가입한 뒤 기업 정보를 확인하고 투자하면 된다. 자금 모집 기간은 보통 4주로, 모집 금액이 80%에 미달하면 청약이 취소된다.
김지은 기자 bridge@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