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미래에셋증권은 “현대증권 인수 컨소시엄에 전략적투자자로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타 증권사와의 과열경쟁 우려에 따라 업계리딩회사로서 큰 그림에서 결정한 것이라는 게 미래에셋증권 측의 설명이다.
미래에셋은 현대증권 인수에 LK투자파트너스로부터 전략적 투자자(SI)로 참여를 제안 받아 인수 참여를 검토했지만 최종적으로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 LK투자파트너스는 현대증권 매각 입찰에 인수의향서를 제출한 국내 사모펀드(PEF)다. 업계에서는 현대그룹이 지난해 사모펀드에 현대증권을 매각하려다 금융당국의 대주주 적격성 심사를 넘지 못하고 M&A가 무산된 경험이 있기 때문에 사모펀드의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가능성을 낮게 점쳐 왔던 상황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LK투자파트너스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미래에셋증권이 현대증권 본입찰에 참여 할 경우 한국금융지주와 KB금융지주를 포함, 3파전으로 흘러갈 가능성이 높다는 게 시장의 지배적인 시각이었다.
더욱이 박현주닫기

미래에셋증권은 그러나 이 같은 결정으로 KDB대우증권 인수·합병에만 집중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한국금융지주, KB금융지주 외에 국내외 PEF인 파인스트리트, LK투자파트너스, 글로벌원자산운용, 홍콩계 액티스 등 모두 6곳이 현대증권 본입찰에서 경쟁하게 되며, 한국금융지주와 KB금융지주의 2파전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한편 이날 금융위원회는 증권선물위원회를 열고, 미래에셋증권의 대우증권 인수 적격성 승인심사를 한다. 금융당국은 미래에셋이 대우증권 대주주가 되는데 결격사유가 없다고 판단, 인수를 승인할 것으로 전해졌다.
김지은 기자 bridge@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