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원은 “배출가스조작사태는 100정도 성장을 가정했을 경우 친환경차시장의 성장각도를 150~200 정도로 가팔라지게 할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라며 “결과적으로 친환경시장을 견인할 촉매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현재 기준으로는 유럽보다 일본의 탄소배출량 규제가 높지만 향후 규제목표의 경우 유럽이 더 높은 것에 주목해야 한다”라며 “상대적으로 미국 및 중국의 연비규제가 약한 것을 감안하면 강화된 연비규제는 유럽자동차업체들에 대한 새로운 보호방식으로 바뀔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유럽의 연비규제 강화는 ‘보이지 않는 무역장벽’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판단이다. 그는 “유럽이 목표로 하는 탄소배출량 기준은 EV(전기차)없이 도달하기는 어려운 목표”라며 “상대적으로 미국 및 중국의 연비규제가 약한 것을 감안하면 유럽자동차업체들이 수혜를 입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이러니하게도 폭스바겐사태는 유럽메이커 입장에서 친환경자동차시장의 점유율을 높일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이 연구원은 “폭스바겐은 약 60~70만대를, BMW는 15~16만대의 하이브리드자동차(PHEV)를 팔면 2021년에 기준으로 논의되는 탄소배출량 기준에 부합된다”라며 “반면 비유럽계 자동차업체는 현재 대형세단을 포함하지 않은 상태에서 현행 배출량기준을 맞추는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이같은 강화된 연비규제는 전세계 전기차시장을 견인할 핵심요인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이 연구원은 “독일계 자동차업체가 연비규제를 앞세워 새로운 환경차시장을 키우려는 것은 대형세단시장의 지배력을 지키려는 목적”이라며 “후발주자들은 친환경자동차 라인업없이 대형세단 판매가 어려워 울며겨자먹기식으로 친환경자동차비중을 높이기 위해 공격적으로 투자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끝으로 이학무 연구원은 무인주행 자동차시대의 도래도 산업의 지도를 바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주목했다. 실제 주요 자동차 업체들이 지난 2월 CES(국제가전박람회)에서 무인주행자동차의 최첨단기술들을 선보였는데, 이를 기반으로 오는 2018~2020년까지 상품성이 있는 제한적인 무인주행자동차의 출시가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다. 이 과정에서 기술융복합화 현상이 가속화되며 무인주행자동차가 과열경쟁으로 레드오션에 노출된 자동차, 통신서비스업체들의 신수익원으로 떠오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우리나라도 2천만대의 등록자동차수는 충분히 추가가입자 확보를 통한 성장 및 수익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라며 “무인주행 자동차가 가져올 패러다임변화에 따른 투자기회에 칩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최성해 기자 haeshe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