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강등 근거로는 경기 침체 심화와 정치적 불안정 확대를 꼽았다. ‘11년 호셰프 대통령 취임 이후 ‘14년까지 재정지출은 연평균 10% 내외로 빠르게 증가했다. 하지만 ‘14년 월드컵 개최로 인한 재정지출 확대 및 예상치 못한 재정수입 급감으로 건전성이 크게 악화했고, ‘15년에도 세수 부진이 지속되고 있다. 여기에 주력 수출 상품인 원자재 가격이 최근 약세를 보임에 따라 경상수지가 악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문제는 쌍둥이 적자 심화가 단기적으로 개선될 가능성이 낮은 점이다. 브라질의 수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철광석, 원유 등의 가격 개선이 더딜 것으로 예상되며, 제조업과 원자재 수출 국가에서 원자재 중심의 단조로운 수출 구조 변화된 현재로서는 환율절하로 인한 수출 경쟁력 개선의 효과를 누리기도 힘든 상황이라는 지적이다.
특히 경상수지 적자는 헤알화 약세 압력으로 이어지고, 이는 자본유출, 수입물가상승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상승으로 나타난다.. 이에 따라 브라질 중앙은행은 경기가 악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준금리를 상향조정할 수 밖에 없으며, 이는 브라질 내수 경기의 침체와 이에 따른 세수 감소 및 재정 건전성 악화로 이어지는 악순환에 노출됐다는 분석이다.
한편 브라질 신용등급 투자부적격 강등은 위험 신흥국에 대한 회피 심리를 강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브라질 다음으로 신용등급 강등 및 자본유출의 타깃이 될 수 있는 국가로는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가 있는데,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는 자원 수출국으로서 유사한 문제를 겪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정치 불안이 심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추후 신용등급 하락을 겪게 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정유, 비철금속, 철강의 수출 비중이 높다는 점에서 환율 효과 및 수요 부진이 더해져 전체 수출 및 해당 업종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할 수 있는 것도 부담이다.
하이투자증권 김진명 연구원은 “금융 부문에서는 해당 지역에 대한 익스포져 규모는 상당하나, 실제로 익스포져가 부실로 발생할 가능성이 제한적이라는 점에서 전염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라며 “다만 지난 2014년말 기준으로 브라질 국채 잔액이 5.8조이며 이중 5.2조가 개인투자자 보유라는 점에서 개인투자자들의 손실 및 이에 따른 투자심리 위축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최성해 기자 haeshe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