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신용위험에 빨간 경고등이 켜지고 있는 것이다. 저금리 기조로 은행 이익창출력 및 자산건전성 저하에다 계좌이동제와 인터넷전문은행 등의 도입으로 은행 간 경쟁이 더욱 심화될 경우 사업환경은 갈수록 나빠진다는 전제에서다.
LTV·DIT 규제와 안심전환대출 등 정부 정책에 따라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은행권 가계대출이 크게 증가한 것은 2금융권 리스크가 은행으로 전이된 것이어서 건전성 하락을 부추기고 있다는 분석이다. NICE신용평가는 지난 26일 서울 여의도 NH투자증권에서 개최한 ‘가계부채의 금융업권별 대응력 분석과 은행 신용위험의 방향성 진단’ 포럼에서 이같은 진단과 전망을 내놨다.
◇ 구조조정 상시화, 판관비 부담↑
김성진 NICE신용평가 금융평가본부 책임연구원은 이날 발표에서 “2014년 말부터 은행업 리스크 확대 가능성에 대해 계속 경고했다”며 “최근 국내은행 사업환경은 더욱 부정적인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말했다. 그가 향후 은행업 신용위험에 대해 부정적으로 전망하는 원인은 은행 순이자마진(NIM) 하락으로 기본적 이익창출력 저하가 지속되는데다 국내 경기 둔화로 전반적인 자산건전성마저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은행들이 발표한 상반기 순이익은 전년 수준을 유지했으나 대우조선해양 등 대형 조선사 여신 관련 추가 충당금은 미반영된 수치다. 김 연구원의 발표에 따르면 은행권 전체 대우조선해양 익스포져는 지난 7월 말 기준 22조 8239억원이고 이를 요주의여신으로 분류했을 때 추가충당금은 1조 4037억원이다.
또한 그는 “과거 은행 구조조정은 일회성 이벤트 성격이 강했지만 최근에는 점점 상시화되는 분위기”라며 “이에 따라 매년 발생할 판관비 부담이 증가할 것”이라 전망했다.
◇ 은행 경쟁 심화, 마케팅비도↑
이익창출력이나 자산건전성 등 은행들 체력 저하 외에 은행 사업환경 자체도 악화되고 있다. 기준금리는 지난해 8월을 시작으로 최근 1년 간 4차례 인하해 역대 최저치인 1.50%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김 연구원은 “수출감소, 내수부진 심화 등을 감안하면 기준금리 추가인하 가능성도 상존한다”고 지적했다.
여기에 미국 금리인상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되는 상황에서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더라도 은행 수익성이 개선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는 것이 김 연구원의 분석이다. 기업과 가계의 기초체력 약화로 금리상승을 감당하기 어려운 차주가 많아져 금리상승기에 은행들의 대손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이다.
10월 실시 예정인 계좌이동제로 은행들이 주거래고객을 잡기 위해 금리, 수수료 경쟁을 벌일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인터넷전문은행 도입으로 플레이어 수마저 증가하면서 은행 간 경쟁은 더욱 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경쟁 심화로 은행들의 마케팅비도 증가할 전망이다.
◇ 가계 다중채무자 급증 큰 위협
최근 1130조원을 돌파한 가계부채는 은행 신용 리스크를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 중 하나다. 은행의 가계부채 증가율은 2006년 말 13.3%까지 상승한 후 2014년 6월 말 1.8%까지 하락했으나 LTV·DTI 완화, 안심전환대출 출시 등으로 2014년 하반기에만 30조원이 늘면서 증가율이 6.1%로 상승했다. 이혁준 NICE신용평가 금융평가본부 수석연구원은 발표에서 “정부가 2금융권 대출구조를 관리하면서 장기적으로 은행 리스크는 더욱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금융기관 3곳 이상에서 대출을 보유한 차주인 다중채무자 급증도 주요 리스크 요인이다. 이 연구원의 발표에 따르면 비은행권으로만 구성된 다중채무는 LTV·DTI 규제 완화 이후 증가율이 둔화된 반면 은행권 내 다중채무와 은행, 비은행 연계 다중채무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가파르게 올랐다. 하위금융업권 부실화가 상위업권인 은행으로 전이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이 연구원은 금리상승에 따라 증가한 적자가구 보유 가계부채에 적자가구부실률을 적용해 연체금액을 추정하는 시나리오 테스트를 진행했는데 여기서 다중채무까지 고려한 결과, 시중금리가 200bp 오르면 은행 연체율은 2015년 3월 말 기준 0.62%에서 1.40%로 급증했다.
금융업권의 대출태도가 매우 보수화되어 적자가구부실률이 2배로 확대된다는 가정에선 시중금리 200bp 상승 시 연체율이 2.48%로 치솟았다.
◇ 다중채무자 고연령화 리스크까지
이 연구원은 “2금융권에서 연체가 발생한 적자가구는 1금융권에서도 연체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며 “시중금리 상승과 함께 금융기관 대출태도가 보수화 될 경우 다중채무 전이 현실화가 가능한 상황이 왔다”고 경고했다. 게다가 2015년 6월 말 기준 다중채무자 중 44.7%가 50대 이상이다. 다중채무자 고연령화로 가계부채 리스크 발화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이 연구원은 지적했다.
이자마진 감소와 안심전환대출 취급으로 은행 수익성 저하도 우려된다. 최근 기준금리 인하와 높은 변동금리대출 비중 등으로 저금리 대출비중이 크게 증가했다. 또한 안심전환대출 출시로 주택담보대출 부문 수익마진 감소, 안심전환대출 관련 23조 1000억원 규모 MBS 보유로 운용자산 제약 및 향후 매각 시 손실 가능성도 제기된다.
김효원 기자 hyowon123@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