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TIMES 대한민국 최고 금융 경제지
ad

우리민족의 뿌리정신, 효(孝)

관리자 기자

webmaster@

기사입력 : 2014-05-12 10:12

하중호 소장
국립목포대
초빙교수 한국예문화연구소

  • kakao share
  • facebook share
  • telegram share
  • twitter share
  • clipboard copy
우리민족의 뿌리정신, 효(孝)
5월은 가정의 달이다. 어린이 날, 어버이 날, 스승의 날 등 해아릴 수 없을 정도이나, 가정의 달을 맞아 우리의 독특한 효(孝)문화를 한번 살펴보는 것도 의미 있을 것 같다. 문화라면 그 의미가 넓으나, 흔히 정신문화와 물질문화로 구분한다. 정신문화는 인간의 정신 활동의 소산인 문화를 통칭하며, 가치문화와 규범문화로 세분된다. 가치문화는 인간정신의 목표가 되는 보편타당한 가치며, 사람다운 삶을 누리기에 필요한 토양을 말한다. 이러한 토양을 이루는 한국인의 독특한 민족정신의 뿌리에 효(孝)가 있다.

◇ 역사로 본 효(孝)문화의 차별화

역사적으로 보면, 칼이 붓을 지배한 나라는 주군(主君)에 대한 충(忠)이 최고의 덕목이었고, 반대로 붓이 칼을 지배한 나라는 가부장(家父長)에 대한 효(孝)가 중시되었다. 충효가 혼재한 나라는 뜻을 같이 하는 동지에 대한 의(義)가 존중되는 경향이다. 우리나라는 충·효·의가 공존했으나, 대체로 붓이 우대된 나라로 효(孝)가 보다 중시되어져 왔다.

근세에 이르기까지 남성위주의 칼이 펜보다 우위였던 서양은 효의 개념이 약했다. 단어 자체가 없어서 합성어를 사용했다. 효는 영어로 ‘filial piety’라고 하는데, ‘filial’은 라틴어 filius(아들)?filia(딸)의 형용사로 ‘자식의’라는 뜻에서 연유한다. 즉 ‘filial piety’는 ‘자식의 존경 혹은 경건’이라는 의미가 있는데, 공경하면서도 두려움이 깔려 있다. 부모의 마음과 몸을 정성으로 보살펴드리는 우리의 ‘효’의 개념이라기보다 아버지에게 복종하는 성격의 서양적인 충(忠, loyalty)에 가까우며, 자연 여자인 어머니의 비중은 약했다.

◇ 일본인의 충(忠)과 효(孝)

일본은 기후관계로 목욕문화가 발달했다. 목욕순서가 할아버지?아버지?아들 다음에 할머니?어머니?딸이었다. 가족서열이 일본은 어머니와 할머니가 아들보다 아래였다. 효는 윗 부모에게 바치는 보은인데, 아래서열인 어머니에게는 좀 어색하다. 칼이 2차 세계대전에서 패전한 후에야 내려진 일본은 서양처럼 가족관계도 남자 중심의 주종관계로 어머니의 비중은 약했고 충이 효보다 앞서 있었다. 지금은 많이 바뀌었겠지만, 일본은 가정보다는 직장이 우선이었다. 직장의 사장은 곧 옛날의 영주요, 직장은 성이며 영토인 셈이다. 직장 상사와 자신의 아버지가 같은 날 타계하면, 직장 상사의 아버지 장례식이 우선순위다. 이처럼 문화는 공동체가 공유하는 가치며 쉽게 바뀌지 않는다.

한국의 가정과 부모는 효와 사랑이 두루 있었기 때문에 부자뿐 아니라 모자간 갈등도 거의 없었다. 무엇보다 한국의 여자는 경제권이 있었다. 곳간 열쇠는 아버지의 아내요 아들의 어머니가 직접 관리했다. 아들이 가장이 되어도 어머니의 실권은 유지되었다. 아들의 효는 부모에게 똑같이 바쳐지며, 오히려 아버지보다 자상한 어머니에게 더욱 깊다. 겉보기와 달리 한국의 여자는 가정에서 남자와 역할만 다를 뿐 대단한 권력을 행사했다.

◇ 중국인의 효(孝)와 의(義)

중국은 같은 유교권이고 공자의 나라이기도 하나, 효 문화는 우리와 좀 다르고, 의를 중시하였다. 가족이나 효보다 동지가 중요했으며, 대장정(大長征)을 통해서는 모택동과 주은래, 등소평은 유비와 관우, 장비와 같은 관계를 맺어왔다. 이러한 인연의 의형제는 피붙이보다 중하다. 혹 후에 감옥에 가둘 수는 있어도 죽이지는 않는다. 중국의 수호지에 나오는 108형제는 산적이다. 그럼에도 그들은 의리에 죽고 의리에 산다.

이를 중국인은 너무도 아름답게 본다. 홍루몽의 마지막 장면도 눈여겨 볼만하다. 주인공 가보옥이 과거에 합격하고도 호화저택과 가족을 버리고 표표히 산으로 들어간다. 거기에는 뜻이 같은 ‘도반’이라는 의형제가 기다리고 있다. 또한 중국의 재미있는 가족서열을 보자. 아버지의 첩이 낳은 딸은 본부인의 딸과 같은 가족의 서열이 되나, 그 어머니이자 아버지의 첩은 여전히 종의 신분이다.

한국에선 적서의 차별은 있으나, 아버지의 첩도 어머니로서 효의 대상이었다. 한국인에게 가족은 자기 한 몸이나 국가보다 앞서고 효가 충이나 의보다 소중했다.

◇ 현재 한국인의 효(孝)문화

이처럼 한국인의 효는 동서양을 떠나 같은 유교권에서도 확연이 차별화되며 미풍양속의 뿌리이기도 하다. 외국인으로서는 이해하기 힘든 특이한 현상일 것이나, 언젠가 미국입양아 토비 도슨과 흑인혼혈아 하인즈 워드의 이야기가 한국을 울린 적이 있다. 도슨처럼 부모 찾아 삼만리를 헤맬 필요도, 워드처럼 어미니에 대한 효로 눈물지을 필요도 없는 행복한 모국의 현실은 오히려 근대화과정에서 뿌리정신이 많이 희석되었다고 우려하는 소리가 높지만, 그래도 한국에는 여전히 효가 정신문화의 근저에 깔려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가정의 달을 맞아 온가족이 사랑으로 충만하고 행복 가득한 시간되었으면 좋겠다.



관리자 기자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FNTIMES -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오늘의 뉴스

ad
ad
ad
ad

한국금융 포럼 사이버관

더보기

FT카드뉴스

더보기
대내외에서 ESG 경영 성과를 인정받은 KT&G
국어문화원연합회, 578돌 한글날 맞이 '재미있는 우리말 가게 이름 찾기' 공모전 열어
[카드뉴스] 국립생태원과 함께 환경보호 활동 강화하는 KT&G
[카드뉴스] 신생아 특례 대출 조건, 한도, 금리, 신청방법 등 총정리...연 1%대, 최대 5억
[카드뉴스] 어닝시즌은 ‘실적발표기간’으로

FT도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