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연구위원은 “과거에 판매한 확정형 고금리상품이 생보사들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지금은 자본계정 투자수익과 보험영업이익으로 금리 역마진을 보전하고 금리연동형 보험, 변액보험 등으로 상품구성을 조정해 준비금 부담금리를 낮추고 있는 상태”라고 설명했다.
보험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해 생보사 일반계정 보험료적립금(282조원)의 적립이자는 16조원이었지만 투자수익은 14조9000억원에 그쳤다. 보험사의 주된 수익원 중의 하나인 이자율차 손익이 -1조1000억원으로 역마진이 발생했다는 뜻이다. 생보사들은 이차역마진을 적립금 초과 투자수익(2조원)과 보험영업이익(3조4000억원) 등으로 보전해 지난 해 세전 4조3000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조 연구위원은 그러나 “저금리가 지속되면 이차역마진이 확대돼 자본계정 등을 통한 역마진 보전이 한계에 달한다”며 “금리가 현재보다 1%포인트 이상 하락해 그 수준이 지속되는 최악의 시나리오에서는 일부 보험사는 당기손실이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실제 시나리오 분석 결과, 장기 시중금리(지난 10월 22일 현재 국고채 5년물 2.92%)가 100bp 하락하면 국내 보험사의 당기순익 감소가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시중금리가 100bp 이하로 지속적으로 내려갈 경우에는 국내 생보사들이 2015년부터 당기손실을 기록해 적자 경영 위기에 봉착할 것으로 조사됐다.
조 연구위원은 시중금리의 단기 반등 가능성이 낮으므로 보험사들이 적극적인 저금리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보험상품 구성을 다양화해 보장성 상품과 금리연동형 상품 비중을 높이고 유배당 상품 판매도 활성화하는 영업 전략을 펴야 한다는 것이다. 자산운용 측면에서도 회사채와 해외채권 등 부채중심 투자를 유지하면서 수익성을 제고하고 금리위험 헤지를 위한 파생상품 활용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조 연구위원은 조언했다.
마지막으로 금융당국에도 보험산업에 대한 주기적인 위기상황 분석과 충분한 준비금 적립 유도에 나서는 한편, 준비금 적립 표준이율이나 해외채권 매입 관련 규제 등을 개선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 국내보험사들 금리리스크 취약
일본과 미국 보험사의 저금리 대응에 대한 주제발표를 맡은 안치홍 밀리만컨설팅 대표는 이차역마진으로 인해 각각 7개(일본), 81개(미국) 보험사가 파산한 전례를 소개하며, “국내 보험사의 경우 고금리 확정형 상품 비중이 높고 변액보증에 대한 헤지도 전혀 돼 있지 않아 일본과 미국보다 저금리 영향이 훨씬 클 것”이라고 밝혔다. 안 대표는 또 “저금리에 가장 중요한 리스크는 상품의 수익성이 감소해 재무상태가 점진적으로 악화되는 것”이라며 “사업비 절감과 사차익 확보로 마진 하락에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 “해외진출이 답이다”
한편 이날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축사를 통해 “보험회사를 비롯한 금융사들이 신흥개발국들에 적극적으로 진출해야 한다”며 해외 진출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김 위원장은 “아시아의 많은 신흥개발국들은 금융발전의 여지가 매우 많은 데다 우리와는 지리적·정서적으로도 가깝다”면서 “저금리·저성장 시대에 새로운 시장을 발굴·개척하고 선점함으로써 앞으로의 먹거리를 창출해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은 또 “우리나라는 급속하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음에도 공적연금을 통한 소득대체율은 42%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평균(57%)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며, “보험사들이 연금상품이나 의료보험상품의 개발과 보급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장기상품 개발과 리스크 관리 능력이 뛰어난 보험업계가 이런 추세를 반영한 연금상품이나 의료보험 상품 개발과 판매에 노력한다면 시장확대는 물론 고령화문제에 대한 사회안전망을 제공하는 역할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최광호 기자 ho@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