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이스저축銀 매각 유찰 가능성 높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대영·에이스 저축은행 패키지 입찰에 인수의향서(LOI)를 낸 금융회사들이 오는 15일께 예정된 본입찰에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 대영이 패키지에서 빠지면서 인수 메리트가 크게 떨어졌기 때문이다.
대영·에이스 저축은행 패키지에 관심을 보인 금융회사는 아주캐피탈과 키움증권, 러시앤캐시 등 모두 3곳. 하지만 이들은 15일 본입찰을 앞두고 아직까지 에이스저축은행에 대한 실사조차 시작하지 않아 사실상 입찰을 포기한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인천에만 2개 지점을 갖고 있는 에이스보다 상대적으로 강남, 목동, 송파 등 서울에 지점을 보유한 대영저축은행에 대한 관심이 컸다”며 “대영저축은행이 인수되면서 (에이스는) 메리트를 잃었다”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 예보 관계자는 “일정대로 이달 중순에 에이스저축은행 본입찰을 실시할 방침이며 유찰되면 팔리지 않는 저축은행들을 묶어 재매각 공고를 낼 생각”이라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서울에 본점이 있는 대영저축은행의 규모와 비슷한 제일2저축은행이 에이스와 패키지 매물로 나올 것인지를 주목하고 있다. 키움증권은 제일2저축은행 인수를 개별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키움증권 관계자는 “아직은 아무것도 확정된 바 없다”고 말했다.
반면 프라임·파랑새저축은행 패키지 인수전은 더욱 치열할 전망이다. 여기에는 하나금융지주, BS금융지주와 함께 아주캐피탈, 러시앤캐시가 인수의향서를 냈다.
◇ 토마토2·제일2저축銀 곧 매물로
이날로 지난 9월 영업 정지된 저축은행들의 자체 정상화 기간이 종료됨에 따라 토마토, 제일, 프라임·파랑새 등 3개 패키지, 5개 저축은행들은 예정대로 자산부채이전(P&A) 방식으로 매각 절차를 밟게 된다.
아울러 토마토저축은행의 경영 정상화 기간이 2일로 끝나면서 자회사인 토마토2저축은행도 예금보험공사로 경영권이 넘어가게 된다. 유동성 문제로 영업정지된 제일2저축은행도 금융당국의 자산재실사 결과 자본잠식으로 드러나면서 이달 중 부실 금융기관으로 지정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두 저축은행 모두 조만간 매물로 등장할 것이란 게 금융당국의 설명이다. 예보 관계자는 “두 저축은행이 따로 매각 절차를 밟을지, 이번 패키지 매각에서 유찰된 저축은행과 함께 매각할진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예보는 이번주 중 부산저축은행에 대한 실사도 모두 마무리하고 매각방법 등을 결정한 방침이다. 그러나 금융권에서는 워낙 부실이 커 매각보다는 파산시키거나 예보가 직접 경영하는 가교 저축은행으로 전환시킬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 금융지주, 부실 저축銀 인수 잘될까
한편 토마토, 제일, 프라임·파랑새 등 3개 패키지, 5개 저축은행에 대한 인수의향서를 접수받은 결과, KB금융 신한금융 키움증권 등 7개 금융회사가 신청서를 냈다.
대형 저축은행인 토마토저축은행은 신한·우리금융이, 제일저축은행은 KB·우리·하나금융이 각각 인수 의사를 밝혔지만 비즈니스 측면에서 접근했다고 볼 수 없다는 관측이 많다. 금융당국이 저축은행들의 빠른 영업 재개를 위해 금융지주사들을 압박했다는 것이다.금융계 관계자는 “유효경쟁이 성립하려면 2곳 이상 입찰에 참여해야 한다”며 “올초 이미 삼화저축은행을 인수한 우리금융이 입찰에 참여하면서 유효경쟁 요건을 간신히 맞췄다는 점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고 귀띔했다. 그만큼 신한·KB금융 등 유력 후보들이 인수가격을 높게 써내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다.
지난 8월 전주·대전·보해 저축은행 매각 때는 복수의 금융지주사가 입찰에 참여했지만 가격 조건이 맞지 않아 두 차례 유찰됐다.결국 3개 저축은행은 예보 가교저축은행으로 넘어갔다. 예보 관계자는 “이달 중순 본입찰을 실시하되 팔리지 않는 저축은행은 재매각 공고를 낼 것”이라며 “다음달 말까지 모든 저축은행의 영업을 재개하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김의석 기자 esk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