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보생명은 지난해 시니어파트너즈와 공동으로 우리나라 40세 이상 69세 이하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15일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70~74세는 돼야 노인세대로 진입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54.4%, 75세는 넘어야 한다는 답변이 14.4%로 전체의 68.8%를 차지했다. 65~69세라는 의견은 26.5%, 60~64세라는 의견은 4.7%에 불과했다. 또 심리적 나이와 실제 나이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의 36.9%는 본인의 실제 나이보다 6~10세 젊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26.2%는 1~5세 차이라고 답했다.
실제 나이보다 무려 11~15세 젊다고 느끼는 응답자로 16.6%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호칭에 있어서도 응답자의 절반 이상(56.4%)이 ‘시니어(Senior)’를 꼽았으며, ‘실버(silver)’는 22.1%가, ‘액티브 시니어(Active Senior)’는 13.4%가 선택했다. 고령자(5.7%), 노인(2.3%)이라는 표현은 일부만 선택했다.
이는 사회참여 기회 확산과 평균수명 증가로 실제 나이보다 젊게 사고하고 적극적으로 행동하는 시니어 그룹이 꾸준히 늘고 있다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들의 노후준비에 있어서는 ‘이상과 현실’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풍요로운 노후를 위해 평균 2억9000만원의 노후생활자금이 필요하다고 응답했지만 실제로 준비된 노후생활자금은 평균 1억원으로, 1억9000만원 정도 차이가 났다.
이미연 기자 enero20@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