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퇴법 개정시 퇴직연금시장 고성장
퇴직연금의 성장세가 거침없는 가운데 한국투자증권의 행보도 거침없다. 그 선봉장이 한국투자증권이 지난 2008년 6월 설립한 퇴직연금연구소다. 이를 지휘하는 강성모 소장은 퇴직연금에 관한한 베테랑이다.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업계 BIG3에 진입하는 등 퇴직연금제도의 올바른 정착과 발전을 위해 힘쓰고 있다.
◇ 퇴직연금으로 노후생활 가능하다
“퇴직연금이 실질적으로 노후생활에 도움되야 합니다.” 한국투자증권 강성모 퇴직연금소장은 이같은 퇴직연금관을 밝혔다. 단순히 돈을 묻어두는 비상금개념이 아니라 은퇴 뒤 노후생활에 힘을 보탬이 되는 퇴직연금체계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그가 ‘퇴직연금=이상적인 노후준비’라고 역설하는 이유는 퇴직연금에 대한 오해와 선입관이 의외로 널리 퍼졌기 때문이다.
강 소장의 설명에 따르면 퇴직연금제도는 크게 DB(확정급여)형, DC(확정기여)형으로 나뉜다. 가장 큰 기준은 운용에 대한 권한이 회사 혹은 가입자에게 있느냐다. 예컨대 DB는 회사가 퇴직금 가운데 60% 이상을 외부에 맡겨 운용하는 반면 DC는 근로자가 매년 1/12씩 적립해주는 퇴직금을 직접 금융회사를 골라 투자하는 식이다.
가입자의 투자성향에 따라 선택전략도 달라져야 한다는 게 그의 판단이다. “제도유형간 우열이 정해진 것이 아니라 근로자가 처한 환경에 따라 유불리가 달라집니다. 예컨대 투자성향이 보수적이어서 원금보전을 중시하는 근로자들은 DC보다 퇴직급여 수준이 미리 정해져있는 DB가 더 적합해요. 또 대기업에 비해 도산리스크가 상대적으로 큰 중소기업의 근로자는 퇴직급여 수급권이 100% 확보된 DC가 더 유리합니다.”
기업입장에서도 마찬가지다. DC를 도입한 기업의 경우 퇴직연금 관련 부채가 발행하지 않아 회계처리가 간편하지만 근로자들의 적립금 투자수익이 신통치않으면 DC에 대한 반발도 우려된다.
반면 DB의 경우 퇴직금제도와 비슷해 거부감은 적으나 최근 국제회계기준적용에 따른 퇴직급여 회계처리가 복잡하다. 즉 제도유형별로 장단점이 있어 기업고유특성에 따라 제도를 도입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설명이다.
◇ 맞춤형설계가 중요, 업계 최초 PALM시스템 도입
그의 지적대로 퇴직연금은 근로자, 기업 모두 맞춤형 설계가 성공적으로 이뤄지느냐에 따라 희비가 엇갈린다. 지난 2008년 6월에 세워진 퇴직연금연구소의 역할도 적게는 가입자의 투자성향에, 넓게는 시장환경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서비스를 제공해 성공적인 노후생활이 가능하도록 돕는 것이다. 규모도 연구전담인력만 13명으로 업계 최대수준이며 퇴직연금 전문 리서치 및 컨설팅업무를 수행한다. 주요 활동영역은 제도연구, 시장분석 및 전망, 상품개발 및 자산운용컨설팅, 투자자교육 등이며, 국내 처음으로 ‘연금용어사전’을 펴낸데 이어 퇴직연금에 관련된 세미나, 아카데미도 열어 퇴직연금의 대중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연구소 간판만 있고 독자적인 연구조직이 없거나 실질적인 활동은 하지않는 곳도 있습니다. 퇴직연금에 대한 체계적 분석이 뒤따르지 않으면 급변하는 제도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고 자산운용노하우도 뒤쳐져 맞춤형컨설팅서비스를 하기에 어렵습니다”
강 소장은 한국투자증권 퇴직연금연구소의 역량이 느낄 수 있는 서비스로 PALM(Pension Asset Liability Manage ment)을 꼽았다. 이는 기업의 확정급여(DB)형 퇴직연금에 대한 자산부채 통합관리 시스템으로 국내에 도입된 적은 처음이다. DB형이 발달한 유럽 ALM(Asset Liability Management) 시장에서 점유율 80%를 차지하는 네덜란드 올텍의 PALM시스템을 한국채권연구원과 손잡고 지난해 7월에 도입한 것. 그의 설명에 따르면 ALM이란 자산과 부채의 매칭을 통해 금리 유동성 및 리스크의 정밀한 측정과 관리를 도모하고 정확한 자산, 부채, 현금흐름 파악이 가능한 자산부채 통합관리기법을 뜻한다. 퇴직급여부채와 이를 운용하는 자산의 유기적 연동이 가능하다는 게 장점인데, 국민연금이 활용할 정도로 우수성을 검증 받았다. 이 PALM을 활용하면 효율적인 기업경영이 가능하다는 게 그의 판단이다.
“투자목표, 적립비율 등을 감안한 적립금운용은 금리상승, 인금상승율 등 변화에 발맞춰 수시로 바꿔야 합니다. 최근 국제회계기준 도입으로 적립된 퇴직연금변동성이 커져 회사의 손익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이를 일일이 조율하면 만만치않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한데, PALM을 활용하면 자산, 부채가 같이 연동돼 기업경영에 대한 부담이 대폭 줄어듭니다.”
◇ 우수한 자산관리 서비스로 경쟁
그의 구상대로 퇴직연금이 은퇴수단으로 자리매김하려면 은행권과 한판 승부가 불가피하다. 퇴직연금시장은 기업대출금융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는 은행들이 주도하는 상황. 반면 컨설팅, 자산관리같은 순수한 서비스로 경쟁해야 하는 증권사들은 출발부터 뒤진다. 그는 “가입자들은 주거래은행으로부터 영향력에 자유롭지못한 것이 현실”이라며 “자금력이 떨어지는 중소기업일수록 그 영향력이 심하다”고 우려하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봤을 때 증권사가 은행권과 퇴직연금 경쟁에도 승산이 있다는 판단이다. 무엇보다 증권사가 은행에 비해 상품선택의 폭이 넓고 사후관리서비스같은 자산관리에서 경쟁력을 가진다. 현재 퇴직연금의 적립식운용방식은 은행이 영향력이 여전한데다 가입자의 원금선호성향이 맞물려 원리금운용방식을 선호하는 상황. 이같은 쏠림현상은 노후준비에 순기능보다 부작용이 많다는 게 그의 판단이다. 물가상승률 등을 따지면 배보다 배꼽이 더 커서 노후생활에 오히려 마이너스다. 퇴직연금이라도 원리금보장같은 안전자산은 물론 인플레를 극복할 수 있는 위험자산에도 적절히 투자해야 퇴직연금이 노후준비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미국 피델리티, 캘퍼스 연기금만 보더라도 위험자산인 주식비중을 높이고 있어요. 적극적인 퇴직연금운용하고 장기적으로 가입해야 퇴직연금이 노후를 준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본거죠. 우리나라도 자산관리를 통해 퇴직연금이 단순 목돈이 아니라 노후생활에 필수라고 인식이 바꿔야 합니다.”
끝으로 강성모 소장은 퇴진연금시장의 성장세도 낙관했다. 그는 “우리보다 앞서 91년에 시작한 호주의 경우 퇴직적립금자산이 국가GDP의 약 20% 수준”이라며 “GDP가 약 1000조원인 우리나라에서 퇴직연금자산은 약 30조원으로 성장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며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개정안이 통과되면 그 성장속도는 더 빠를 것”으로 내다봤다. 아울러 그는 퇴직연금이 단순한 퇴직금이 아니라 노후생활에 힘을 보태는 자금으로 인식을 바꿔야 한다고도 덧붙였다.
“지금은 40대도 노후준비를 하기엔 늙은 축에 속합니다. 적어도 30년동안 꾸준히 쌓아야 노후에 소득대체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지금처럼 운용방식을 원리금 쪽으로 획일화하고 이직할 때 자꾸 깨면 퇴직연금은 노후에 푼돈에 불과합니다. 또 세금이연효과로 뛰어나 여유가 있으면 추가로 납입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한국투자증권 퇴직연금경쟁력 -
한국투자증권은 서비스 품질을 갖추기 위한 스스로의 경쟁에 투자를 집중하고 있다.
먼저 전문인력의 수에 있어 업계 최상위권을 차지한다. 직접 기업과 접촉하는 영업인력뿐 아니라 본연의 연금 서비스를 실질적으로 담당하는 중간이나 후선 부서 인력을 기능별로 갖추고 있다. 제도 운영 및 자산 운용의 기본 인프라인 시스템도 가장 선진적인 형태다. 선진시장에서 검증된 DB 운용 연금 자산·부채 관리(PALM) 시스템, 업계 최초의 증권 실시간 매매 시스템, DC 개인별 자산컨설팅 시스템 등은 독보적이다. 독자 개발한 기록·관리(RK) 시스템 역시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근퇴법) 개정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업그레이드해 완료를 목전에 두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 같은 인적·물적 자원과 37년간의 자산운용 노하우바탕으로 DB, DC 공히 고객 자산수익률도 수년간 가장 높은 수준이다.
〈 프로필 〉
최성해 기자 haeshe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