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저축은행 업계에 따르면 저축은행중앙회가 한신저축은행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하나로저축은행의 경영정상화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A저축은행 관계자는 “하나로저축은행은 기존 인수자와의 매각진행이 더 이상 불가능해져 업계 자체적으로 부실저축은행의 정상화 차원으로 중앙회와 한신저축은행이 공동으로 인수에 나선 것”이라고 말했다.
저축은행들은 저축은행중앙회에 예치한 지급준비예탁금의 운용수익 중 1000억원 규모를 구조개선적립기금으로 만들었다. 이는 부실저축은행을 업계가 정상화해 저축은행 고객의 권익을 지켜주겠다는 의도로 풀이돼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현재 834억원이 적립돼 있으며 올해 8월까지 1000억원을 맞출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하나로저축은행이 첫사례가 될 것으로 보여 향후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하지만 저축은행중앙회에서는 최종까지 인수작업이 어떻게 달라질지 모르기 때문에 조심스러운 입장을 내비치고 있다.
중앙회 관계자는 “저축은행 업계는 금융시장의 안정과 업계 공동발전을 위해 자율적으로 기금을 조성하고 제3의 투자자와 함께 하나로저축은행의 인수 여부를 검토하고 있지만 최종 인수여부와 인수시 투자규모, 제3투자자의 참가 여부 등에 대해 구체적인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고 말했다.
업계에 따르면 구조개선적립금 관리위원회는 지난달 하나로저축은행 인수와 관련해 수차례의 회의를 갖고 이달 초 하나로저축은행을 인수해 경영정상화를 추진한다는 결의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SBI코리아홀딩스에서 사모펀드를 구성해 하나로저축은행 인수를 추진했지만 일부 투자자가 이탈하면서 매각이 어려워진 상황이다. 지난 한달간 투자자 확보를 위해 계약이 유보된 상황이었지만 투자자 확보가 어려워져 하나로저축은행 대주주와의 매각관련 MOU(업무협약)가 파기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저축은행중앙회가 발빠르게 하나로저축은행 실사에 나서는 등 보완대책 마련에 나선 것. 하지만 실사 결과 부실규모가 생각보다 커 매각가가 당초 예상됐던 금액보다 높게 나왔다.
업계 한 관계자는 “저축은행 실정을 잘 알고 있는 업계 전문가들이 실사를 한 결과 부실규모가 생각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 매각 후 경영정상화에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하나로저축은행을 인수해 부실을 털어내고 클린 저축은행으로 정상화 시키기 위해서는 1100억원대의 비용이 들어가는 것으로 평가했다.
이는 당초 예상됐던 400억~500억원 보다 상당히 높은 금액이다. 이에 따라 구조개선적립금으로 단독으로 인수하기가 어려워지면서 한신저축은행과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방안이 나왔다. 1차적으로 중앙회가 600억원, 한신저축은행이 150억원을 투입해 750억원으로 하나로저축은행을 인수해 경영정상화에 나서고 이후 연말까지 350억원을 더 투입해 부실을 완전히 털어낸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총 1100억원의 자금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업계는 하나로저축은행이 부실을 깨끗이 털어내고 정상화될 경우 메리트는 상당히 높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조기 정상화 이후 매각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한 회계법인 관계자는 “수도권을 포함해 전국적으로 영업망을 확대할 수 있는 메리트와 중대형 규모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하나로저축은행은 부실이 정리되면 향후 M&A 시장에서 우량매물로 부각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나로저축은행은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적기시정 조치 대상으로 분류돼 있다. 투자자가 하나로저축은행을 인수할 경우 충청권 영업지역을 벗어 수도권뿐만 아니라 전국 어느 곳이든 영업을 확대할 수 있는 인센티브를 받게 된다. 하나로저축은행은 자산 7000억원대, 본점을 포함해 5개의 영업점을 갖고 있어 중대형 규모로 무겁지 않다.
업계 한 관계자는 “부실저축은행을 예금보험공사에서 부실정리를 통해 매각작업을 진행해 공적기금 사용에 대한 부담으로 업계가 비난을 받아왔다”며 “하지만 이번 사례를 통해 업계가 자체적으로 예보의 기능을 해냄으로써 고객 보호에 나선다는 이미지가 부각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통해 업계의 이미지가 쇄신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고재인 기자 kj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