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는 부동산 경기 침체가 심화되자 저축은행의 부실 부동산PF(프로젝트 파이낸싱) 대출 현황파악을 위한 전수조사를 마치고 부실 정리방안으로 캠코가 1조3000억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매입해주도록 했다.
이에 따라 캠코는 저축은행과 협의를 거쳐 우선적으로 5023억원 규모의 부동산PF대출 채권을 매입했다.
하지만 저축은행들은 부동산PF 대출채권의 추가적인 매각에 난색을 표명하고 있는 상황이다.
A저축은행 관계자는 “일부저축은행의 유동성 악화 우려로 인해 저축은행의 부동산PF 대출채권을 매각하려고 하는데 공적기관인 캠코에서 수익을 내려고 너무 낮은 가격으로 매입가를 책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캠코는 지난해 말 30개 저축은행의 48개 사업장 PF대출 채권 5023억원어치를 채권액의 52.5% 가격인 2638억원에 매입했다.
캠코는 저축은행이 공사채를 현금으로 전환해 달라고 요청하면 실사 후 현금지급액을 조정해주고 나중에 더 많이 회수되면 추가로 정산해주기로 했다.
이는 사후정산 방식으로 PF채권 금액에서 충당금 적립액을 뺀 나머지 금액을 공사채와 현금으로 지급하고 향후 채권을 매각해 차액만큼 사후 정산을 하게 되는 것. 캠코는 PF채권 금액의 60%정도가 회수될 것으로 보고 매입가를 책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캠코는 나머지 8000억원 규모의 부동산PF 채권을 1분기 내에 매입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저축은행 업계에서는 너무 싼 가격으로 캠코에서 PF대출 채권을 매입한 상황이어서 이같은 추가적인 매각계획은 없다는 입장이다.
A저축은행은 “저축은행의 부동산PF대출 채권의 경우 대부분 우량한 물건이 많기 때문에 올해만 지나면 제 가격을 받을 수 있다”며 “정부의 요청과 일시적인 유동성을 해소하기 위해 일부 PF채권을 매각했지만 동일한 조건이라면 추가적인 매각은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캠코는 당혹스러운 입장을 나타내고 있다.
저축은행에서 부실 PF채권 인수를 요청했으며 부실채권에 대한 출자전환 방식이 아니어서 캠코가 수익을 얻는 구조가 아니라는 것.
캠코 관계자는 “캠코도 사채를 발행해 부실채권을 사는 것으로 신중하게 고려한 것”이라며 “저축은행의 부실 PF채권 회수율을 60%로 잡고 매입가를 결정하고 있어 무조건 싼 값에 매각하라는 것이 아니다”고 말했다.
또 이 관계자는 “또한 PF채권에 대해 출자전환하는 방식이 아니어서 부동산이 향후에 오른다고 해서 캠코가 기대 이상의 수익을 보지 못하고 잘해야 매입한 금액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며 “또한 저축은행이 부실구조를 다 내놓지 않고 있어 실질적인 매입가 선정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고재인 기자 kj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