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사람들이 대부업과 불법사채를 동일하게 바라보는 것이 안타까운 현실이다. 제도권금융과 대부업은 단지 표현의 차이일 뿐 서민을 위한 소비자금융으로 자리를 굳게 잡고 있는 것은 오히려 대부업이다. 제도권금융기관인 저축은행·캐피탈은 법적 상한금리 제한을 받지 않아 대부업체보다 더 높은 금리로 폭리를 취하고 있는 곳도 많다.”
업계 1위 대부업체인 러시앤캐시 비서팀 박진서 팀장<사진>은 제도권금융기관들이 대부업체보다 더 높은 폭리를 취하고 있음에도 대부업에 대한 불신이 더욱 높다고 설명했다.
대부업체는 살인적인 고금리, 불법추심, 협박, 폭력 등을 자행하는 불법사채업자와 동일시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오해에 대해 대부업계 1위인 업체인 러시앤캐시는 시스템 관리를 통한 금리 차등화와 사회공헌사업 등으로 이미지 제고에 나서고 있다. 러시앤캐시는 신용평가시스템(CSS)을 도입해 체계화된 대출심사로 최저 16%에서 최고 48.54%의 차등화된 금리를 제공하고 있다. 저소득층 금융지원을 위한 마이크로크레디트 기금조성을 준비하고 있으며 기존 10억원 규모의 장학기금 강화와 대출금상환면제제도 시행도 준비하고 있다. 러시앤캐시의 이같은 변화를 주도하고 있는 핵심인물 중 한명이 비서팀 박진서 팀장이다. 과거 대부업계에서 채권을 주먹구구식으로 회수하던 관행을 체계적인 시스템 관리를 도입해 연체율을 낮췄던 인물로 업계에서 정평이 나 있다. 실제로 A대부업체에서 근무할 당시 관리 시스템이 없어 50%에 육박하던 연체율을 시스템 관리로 10%대로 낮추는 큰 성과를 내기도 했다.
박 팀장은 “당시 근무했던 업체는 주먹구구식으로 채권 회수를 했던 곳이어서 경희대학교 채권관리 과정을 이수하는 등 연구하고 혼자 공부해 교육책자를 만들어 직원들을 교육시키기도 했다”며 “이때 법률적 회수 방안을 처음 도입했고, 우량과 불량 고객을 나눠서 관리하는 채권등급제, 연체구간별 관리 등을 시도하면서 연체율을 6개월만에 10%대로 떨어트렸다”고 말했다.
박 팀장은 부산대학교 사회체육학과 출신으로 우연찮은 계기로 명동 사금융시장에 입문해 호주 시드니에서 자동차리스 채권 회수를 경력을 쌓은 이색적인 이력의 소유자이다. 이후 파트너크레디트와 원캐싱 등에서 채권관리와 영업총괄 팀장을 지낸 바 있다.
업계에서 잔뼈가 굵은 박 팀장은 대부업이 불법이란 단어와 동의어로 취급되는 것에 안타까움을 나타냈다.
박 팀장은 “사채는 개인간에 금전거래를 통칭해 말하는 것이지 불법업자를 표현하는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은 이를 동일시 하고 있다”면서 “과거 보릿고개 시절 나라에서 지원을 받지 못한 백성들이 높은 금리의 빚을 통해 삶을 영위해 어려운 시기를 넘겼던 것처럼 대부업체도 정부와 제도권금융기관에서 지원을 받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서민들에게 생계를 이어갈 수 있게 금융을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박 팀장은 “따라서 불법과 동일하게 취급되고 있는 대부업이 아니라 소비자금융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올바른 표현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소액대출시장은 저축은행이나 캐피탈등 제도권금융기관이나 대부업체나 차등 없이 높은 고금리 대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이에 대해 최근 소액대출시장에서 금리 질서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박 팀장은 “제도권 금융기관인 저축은행이나 캐피탈까지도 소비자금융사와 같은 금리를 적용한다면 감독당국이 독려하고 있는 저금리 환승론은 유명무실하게 될 것”이라며 “이에 대해 은행, 저축은행·카드사·캐피탈, 소비자금융사(대부업체) 등의 순으로 금리 차등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러시앤캐시는 고객확대를 위한 노력과 함께 저금리 제공을 위한 서비스 개선도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이자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론카드 출시와 365일 대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갖춘다는 방침이다.
한편, 우리나라에서 채권 추심업에 대한 인식은 좋지 않은 편이다. 이에 대해 박 팀장은 채권관리 연구소를 만드는 것이 꿈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박 팀장은 “서점에 가면 신용대출 채권을 어떻게 관리하는지에 대한 관련 책자가 없을 정도로 이 분야에 대한 인식이 낮은 편이어서 앞으로 내 이름을 건 채권관리 연구소를 만드는 것이 꿈”이라고 말했다.
고재인 기자 kj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