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충담금으로 손실대응능력 충분하다
최근 시중금리가 급등하면서 시중은행의 변동금리부 주택담보대출의 금리도 동반상승했다. 이에 따라 가계 금리부담이 증가해 주택담보대출의 부실에 따른 주의가 지적되고 있다. 하지만 저축은행의 경우 시중은행과 달라 직접적인 금리인상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축은행중앙회(회장 김석원)는 양도성예금증서(CD) 등 시중금리가 급등함에 따라 변동금리부 주택담보대출의 금리도 동반상승하면서 주택담보대출의 부실화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저축은행의 경우 이같은 시중금리 상황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고 밝혔다.
이같은 이유에는 저축은행들은 대부분 확정금리형 주택담보대출을 해왔으며 전체비중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은 작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저축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은 시중은행이 하고 있는 변동금리를 적용하지 않고 대부분 확정금리를 적용하고 있고 또한 여신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얼마 되지 않아 부실위험이 상대적으로 작다”고 말했다.
지난 27일 기준 91일물 CD 금리는 5.0%를 기록하면서, 2003년 4월 이후 처음으로 5%대를 끊었다. 이에 따라 CD금리를 기준으로 하는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0.02~0.03% 포인트 상승하는 결과를 초래하면서 주택담보대출이 가계부담으로 작용한다는 지적과 함께 부실이라는 경고음을 내놓았다.
하지만 시중은행과 다른 저축은행의 경우 이같은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분석했다.
저축은행 업계에서는 저축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은 확정금리형 상품이 대부분으로 시중금리 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첫 번째 이유로 꼽았다. 저축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은 통상 1년 만기의 확정금리형이므로 대출시점의 금리가 1년간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대출기간내에 시중금리가 급변동 하더라도 차주의 추가적인 금리부담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시중금리 상승으로 차주의 금리부담이 높아져 주택담보대출이 부실화될 우려가 있다는 시각은 저축은행의 상품구조를 이해하지 못한데서 비롯된 것이라고 반박했다. 다만 신규 취급하는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시중금리 상승분이 반영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도 차주의 이자부담능력 등을 감안해 대출이 실행되기 때문에 시중 금리상승과 저축은행 주택담보대출의 부실화 가능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는 것이다.
또한 저축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비중은 4.8%에 불과한 것도 부실화를 초래하지 않는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저축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규모는 2007년 3월말 현재 2.03조원으로 총대출금 42.6조원의 4.8%수준이다. 은행 24.1%, 보험 22.5%, 신협 22.6% 등과 비교해 본다면 총대출대비 주택담보대출 비중이 현저하게 낮은 수준이기 때문에 주택가격의 급락과 시중금리의 급등 등 주택담보대출 환경이 급속히 악화된다 하더라도 타 금융권에 비해 충격이 작다는 것이다.
이밖에도 추가충당금 적립 등으로 저축은행의 손실대응능력은 충분한다는 이유를 들었다. 저축은행의 LTV(담보인정비율)는 평균 69.1%로 여전사 69.1%, 신협 등 상호금융 60~70%와 같은 수준을 보이고 있어 타금융권에 비해 리스크 노출 정도가 높지 않다. 또 저축은행은 필요한 금액보다 더 많은 대손충당금을 추가 적립하고 있어 충분한 손실대응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금감원 자료에 따르면 저축은행은 필요적립액 대비 적립한 비중이 은행 102.6% 보다 다소 많은 103.9%를 기록하고 있다.
중앙회 관계자는 “추가대손충담금 등으로 부실에 따른 위험을 대비하고 있으며 04년 2160억원, 05년 6929억원, 06상반기 2533억원 등의 당기순이익을 시현해 예상치 못한 손실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확보하고 있다”면서 “특히 05년의 경우 당기순이익의 90%를 내부유보함으로써 이같은 대응능력이 더욱 강화됐다”고 말했다.
고재인 기자 kj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