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관계자는 “은행의 부실채권 비율 하락의 영향이 미치는 것은 아직까지는 기존 채권추심 물량을 확보하고 있어 시간이 걸리지만 올해가 지나면 상황은 더욱 악화되고 채권추심 시장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채권 추심 물량의 감소가 점진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금감원에 등록된 신용정보회사 33곳의 채권추심 매출액 현황에 따르면 2001년 3502억원이던 매출액이 2002년 4938억원, 2003년 6511억원, 2004년 6303억원, 2005년 7084억원으로 최고치를 기록하며 4년만에 2배 이상의 매출액 증가세를 보였다. 올해도 상반기까지 수치는 3722억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11.2% 증가했다. 하지만 금감원은 올해의 채권추심 매출액의 증가는 은행권이 부실채권을 털어내기 위해 많은 물량을 지난해 말과 올해 초에 걸쳐 신용정보회사들에게 위임을 해준 영향이 크고 전체적인 규모는 줄어들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금감원 신용정보실 관계자는 “올해 신용정보사의 채권추심 매출액의 증가는 은행권이 그동안 보유하고 있던 부실채권 물량을 신용정보 자회사 뿐만 아니라 타 신용정보회사들에게도 물량을 넘겨 경쟁을 시킨것으로 보여진다”면서 “매출이 증가했다고 전체 규모가 커진 것으로 볼 수는 없고 시장 상황을 봤을 때 3분기 실적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앞으로 부실채권 물량은 지속적으로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3분기 실적 하락… 업계구조조정 신호탄
실질적으로 많은 신용정보업체들이 올해 3분기 매출이 지난해 동기 대비 10~20% 하락하거나 2분기 대비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 신용정보업계에서 많은 영세 업체들이 도태되거나 합병되는 사례가 나타날 것으로 업계에서는 전망하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전체적으로 상반기 대비 채권추심 물량의 감소와 수수료 인하로 매출이 하락하거나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면서 “따라서 영세한 업체들을 대상으로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업계의 구조조정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고정 물량 확보로 안정적으로 생각했던 은행 자회사인 신용정보사의 실적도 10% 정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 자회사인 신용정보사 한 관계자는 “은행이 아무리 모회사라고 하지만 일반 신용정보사와 경쟁을 시키는 형국으로 효율을 높이고 있어 신용정보사가 은행의 자회사라고 해도 결코 안정적이지만은 않은 상황이며 채권추심 매출도 10%정도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업계는 채권추심 물량이 줄어들면서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대부분의 업체들의 실적이 하락한 반면 규모가 큰 종합신용정보회사 한신정과 한신평정보 등의 채권 추심 3분기 매출은 각각 376억원, 684억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21.7%(67억원), 32.7%(168억원)가 증가했다.
◆ 해외 및 신용평가 시장 진출… 공공채권 시장 확대 등
국내 채권추심 시장이 어려워지자 신용정보업계는 다각도로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업체들은 해외 부실채권 시장 진출과 국내 신용평가 및 조회 시장의 진입을 깊이 있게 고려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해외 시장진출은 일부 은행 자회사 위주로 AMC를 설립해 중국 등 아시아의 부실채권 시장의 진입을 시도하고 있다. 또 줄어들고 있는 국내 시장에서 더욱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신용조회 뿐만 아니라 회사채 신용평가 부문까지 진입해 대외 신인도를 쌓는다는 전략을 준비하고 있는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시장의 규모 축소로 규모 있는 은행권 및 민간 전업사를 중심으로 중국 등 해외 시장과 더불어 국내 신용평가 시장 등에 진출해 대외 신인도를 쌓아 경쟁력을 갖추려고 준비하고 있는 업체들이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상거래상으로 한정돼 있는 채권추심 영역을 조세 및 공공채권까지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강하게 어필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 등 금융 선진국에서는 이미 공공채권은 물론 민사 채권까지 채권추심을 할 수 있게 돼 있어 안정적인 금융 회수시장을 만들어 가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오히려 영역에 제한을 많이 두어 금융시장이 불안정해질 수 있는 위험요소를 가지고 있다”면서 “따라서 민감한 민사 채권은 힘들더라도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발생하는 공공채권의 추심을 허용해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금감원 신용정보실 관계자는 “민사 채권은 아직 우리나라 개인정보 및 채권추심 환경상 어려움이 있지만 공공채권의 허용은 필요하다고 본다”면서 “법 개정이 논의되고 있는 상황이다”고 말했다.
고재인 기자 kj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