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가운데 저축은행은 당분간 리스크관리 시스템 도입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23일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저축은행은 아직까지 리스크관리 영역을 리스크관리 패키지 등 통합 전산시스템보다는 PC용 스프레드쉬트 등에 의존해 관리하고 있다.
금감원은 최근 저축은행들로부터 리스크 관리 개선 방안을 받았다. 그러나 이는 시스템 구축보다는 부동산 경기가 저축은행에 미칠 영향을 우려한 조치다. 대출 사후관리 등을 강화하고 특정업종에 편중한 대출로 리스크가 커지는 것을 방지하자는 차원.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각 저축은행별로 영업 규모 및 특성 등에 따라 각기 리스크관리 시스템을 갖추고는 있으나 일부 미흡한 점도 있어서 워크샵 개최 등을 통해 리스크관리시스템을 보다 발전시켜 나가도록 지속적으로 지도해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리스크 관리를 위한 IT시스템 구축에 대해서는 자율에 맡길 예정이다.
일부 저축은행 관계자도 “리스크관리 시스템 구축을 발전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특히 일부 저축은행 관계자는 리스크관리를 위한 IT시스템에 대한 도입 필요성도 느끼고 있다고 말한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신용리스크와 관련 “대출 등과 관련 개인의 판단에 따라 이뤄지는 리스크관리를 IT 시스템으로 구축, 표준화시킬 필요성이 있다고 보지만 정보 부족, 예산 등으로 아직은 이에 대해 관심이 낮은 편”이라고 했다.
송주영 기자 jyso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