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자통법·FTA 아우르는 TF팀 구성
증권사 등을 자회사로 둔 은행계 지주사와 국민은행이 자본시장통합법 도입을 앞두고 장기적인 전략 마련을 위한 작업을 구체화 하고 있다.
은행을 비롯한 증권 자산운용사 등을 자회사로 두고 있는 지주사의 경우 향후 자본시장통합법에 따라 각 비즈니스의 포트폴리오 구성 등 전략전인 변화가 뒤따르기 때문이다.
지주사를 주축으로 해 은행 증권사 등과 함께 관련 TF팀을 구성하고 사전 자료 수집이나 벤치마킹을 추진하는 동시에 자본시장통합법 시행에 앞서 시스템 구축을 추진하는 곳도 나왔다.
26일 금융계에 따르면 국민은행은 향후 자본시장통합법 도입을 계기로 자본시장 부문의 프로세스 정비 및 통합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하고 관련 컨설팅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컨설팅을 진행하기 위해 IBM 등 일부 컨설팅사에 RFP(제안요청서)를 발송한 상태며 늦어도 다음달 중순 안으로 사업자 선정을 마무리 지을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은행은 향후 자본시장의 장벽이 없어질 것을 대비해 주식 채권 등의 유가증권, 파생상품, 신탁, FX, 복합금융상품, 투자금융 등 자본시장에 해당되는 업무를 통합해서 관리하고 프로세스를 혁신하기 위해 관련 IT시스템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6개월 동안 컨설팅을 진행한 후 25개월 동안 시스템 구축에 돌입한다.
신한금융지주도 이미 지난 4월말 정도에 TF팀을 꾸렸다.
지난주엔 일주일간의 일정으로 국내 자본시장통합법 추진 배경과 비슷한 영국과 프랑스를 방문해 벤치마킹을 했다.
영국의 경우 당초 금융이 낙후돼 있었으나 은행 증권 보험을 아우르는 ‘금융통합법’을 시행했고 향후 유니버셜뱅킹 체제로 개편되는 금융빅뱅 과정이 국내의 상황과 비슷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신한지주 한 관계자는 “영국 등에선 당시 금융계가 어떻게 대응하고 준비했는지, 지주사 관점에선 IB, 자산운용 등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가져가야 할 지 등에 대해 살펴봤다”고 말했다.
아울러 신한지주의 경우 신탁 자산운용 선물 등 모두 갖고 있기 때문에 당분간 방대한 양의 입법예고안에 대한 스터디에 주력할 방침이다.
우리금융지주 역시 지난주 은행 증권사 자산운용사와 함께 총 7명으로 TF팀을 구성했다.
이 TF팀은 자본시장통합법 뿐 아니라 서로 영향을 미칠수 있는 한미FTA를 함께 분석하고 있다.
우리금융 한 관계자는 “어차피 증권 뿐 아니라 은행 보험 기타 나머지 금융산업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금융산업 전체에 대한 영향을 근본적으로 파악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고민해보려고 한다”고 말했다.
원정희 기자 hggad@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