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주주인 예보가 향후 우리금융 지분 매각 등은 물론 경영정상화 방안 마련 과정에서 불편한 심기를 드러낼 경우 조기 민영화 작업이 상당부분 차질을 빚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대주주인 예보의 책임론이 부각되면서 집안 단속을 강화할 수 밖에 없다는 점도 이러한 우려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여기에 재경부의 개입설까지 제기되면서 우리금융 민영화 작업은 물론 정부정책에 대한 공조체제에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돼 주목된다.
최근 우리금융지주 황영기닫기

이와 관련 우리금융도 최대한 말을 아끼곤 있지만 내심 걱정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실제로 우리금융은 대주주인 예보의 보유주식 해외DR(주식예탁증서) 발행에 이어 장기적으로는 공적자금 조기 상환이라는 지상과제를 남겨 두고 있다. 또한 예보와 자율 경영의 발목을 잡고 있는 경영계획이행약정(MOU)에 따른 경영 목표치 부여 작업에서도 긴밀한 논의가 불가피한 실정이다.
우리금융 조기 민영화를 위해서는 예보의 도움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셈이다.
게다가 금융업계에서는 예보가 우리금융의 스톡옵션 파문을 계기로 철저한 집안단속에 나설 것으로 보고 있다.
금융기관의 모럴 헤저드가 결국 대주주인 예보의 관리 부실이라는 부메랑으로 되돌아오는 이상 관리를 강화할 수 밖에 없다는 것.
이로 인해 예보의 우리금융에 대한 경영 간섭은 확대될 수 밖에 없고 결국 민영화 작업에 별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이와 관련 우리금융 관계자는 “스톡옵션에 대한 입장차이로 향후 민영화 작업 등과 관련 예보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다”며 “경영진 의지가 대주주의 일방적인 반대에 부딪쳐 무산된 이상 분위기가 좋은 건 아니다”고 토로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재경부가 예보의 강경 입장에 상당부분 개입됐다는 관측이 나오면서 문제의 심각성은 더하고 있다.
우리금융의 스톡옵션 부여가 정부와 금융기관간 ‘신경전’ 양상으로 비화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결국 이러한 정부 당국과 금융기관간 앙금은 우리금융의 민영화 작업은 물론 정부 정책에 대한 공조체제에도 허점을 드러낼 수 있다는 지적이다. 과거 김정태닫기

금융계 한 고위 관계자는 “우리금융의 스톡옵션 논란이 외형적으로는 단순해 보이지만 정부와 금융기관간 힘겨루기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며 “과거 국민은행의 경우처럼 정부와 금융기관의 사소한 마찰이 오랫 동안 불편한 관계로 이어질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앞서 지난 16일 예금보험공사 최장봉사장이 스톡옵션 자진반납을 거론하자 곧바로 우리금융지주 황영기 회장에 이어 사외이사까지 집단 반납 의사를 밝힌 상태다.
여기에 우리금융 및 계열사 임원들은 여전히 스톡옵션을 반납하지 않은 가운데 예금보험공사는 오는 30일 우리금융 주주총회에서 스톡옵션 부여 안건을 거부할 방침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송정훈 기자 repor@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