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측은 직원 보상 문제에 강경한 입장으로 자동차보험료 담합 의혹과 관련, 폭로전을 불사할 움직임이다.
반면 삼성, 현대해상 등 인수사들은 부실화 위험이 큰 자산 줄이기에 주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수사들의 자산·부채 실사 작업도 계속 연기되고 있다.
2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리젠트화재 P&A(계약이전)처리와 관련, 해당회사측과 계약 인수사인 삼성, 현대, LG, 동부화재 등 대형 손보사간 팽팽한 의견 대립을 보이고 있다.
특히 리젠트화재노조측은 자보료 담합 의혹에 대한 자료를 확보했다며 대형 손보사들을 압박하고 있다.
리젠트화재노조측은 임직원에 대한 고용승계 등 충분한 보상을 요구하고 있다. 리젠트화재 처리가 업계 공동의 문제인 점을 감안, 노조측 요구가 받아들여져야 한다는 주장이다.
특히 리젠트화재측은 자동차보험의 보험료 담합 의혹과 관련, 세부자료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자보료 담합 의혹은 지난해부터 제기된 것으로 손보사들이 가장 민감해하는 부분.
리젠트화재 노조측은 “자보료 담합은 원수보험료의 0.15%에서 최고 5%까지 벌칙금을 부여하는 엄격한 제재가 적용된다”며 “일단 5개사 손보사 사장단에게 자료를 공개하고 적절한 판단을 내리도록 할 것이다”고 말했다.
반면 인수사들은 부채의 경우 정부가 풋백옵션 등을 통해 전액 손실 보전을 해줘 문제가 없다는 입장. 다만 리젠트화재가 보유중인 자산은 인수 후에도 부실화 우려가 커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대형 손보사 한 관계자도 “본격적인 협의가 이뤄져야 하겠지만 현재로서는 리젠트화재의 자산 인수 규모를 줄이는 게 관건이다”고 말했다.
한편 금감위는 지난달 리젠트화재의 P&A 처리방침을 확정하고 인수사들을 대상으로 협상을 진행 중이다.
이에 따라 삼성, 현대, LG, 동부화재 등 대형 손보사들은 실무진들을 파견해 자산·부채 인수를 위한 활발한 작업을 벌이고 있다.
송정훈 기자 jhso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