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 김희식 책임조사역은 28일 `원.달러 환율 결정과정의 구조특성과 통화정책의 환율변동 효과`라는 연구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김 조사역은 `외환위기 이전에는 총통화 확대충격이 환율에 미치는 종합적인 영향에 대한 이론적 해석이 어려웠다`며 `하지만 외환위기 이후에는 통화정책이 환율에 미치는 효과가 대체로 이론과도 맞아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그는 `외환위기 이전에는 환율의 신축성이 없는데다 금융기관의 도덕적해이를 제어할 제도 등이 미흡한 가운데 자본자유화를 추진, 신용위험이 증가하는 데도 자본유입이 확대되는 등의 이상현상으로 인해 예측이 어려웠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외환위기 이후에는 콜금리 인하 충격이 크지는 않았으나 5개월후까지는 환율을 상승시키다가 하락시키는 것으로 분석돼 통화정책의 환율변동효과에 관한 이론과도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김 책임조사역은 또 `외환위기 이후 이같은 시장 메커니즘 작동과 통화정책의 시장에 대한 신호효과가 높아지고 있다`며 `통화정책이 기초 경제여건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데 역점을 두는 동시에 신뢰성 확보에도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금융시장과 주식시장을 통한 환율변동 메커니즘이 더욱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외환시장을 확충시키고 금융감독제도도 시장 친화적으로 개선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훈정 기자 hjso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