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들이 최근들어 부쩍 늘어나고 있는 국감자료 요청에 곤욕을 치르고 있다.
감독당국의 감사와 증권업협회의 각종 영업행위준칙 제도 개선에 따른 업무부담을 하소연하고 있는 증권사들은 지난 7월부터 국감자료 요청이 늘어나면서 본업무는 아예 뒷전으로 미뤄놓고 있는 실정이다.
이미 지난 8월 한달간 금감원을 통해 들어온 요청자료만 해도 증권사 소송비용, 급여·상여 등 임금제도, 주간사 수수료, 자회사 현황 등 28건에 이른다. 의원들이 국정활동을 위해 요청하는 자료라고는 하지만 개중에는 매년 되풀이되는 요청자료도 많아 증권사들의 불만은 더욱 커지고 있다.
6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최근 증권사들마다 증권산업 개편과 침체일로에 있는 증시에서 벗어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국감자료 요구 등 매년 반복되는 구태의연한 관행들로 인해 브레이크가 걸리고 있다는 지적이다.
증권사 한 관계자는 “매년 9월 정기국회가 다가오면 국회의원들이 각종 자료를 요청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올해들어 부쩍늘어나고 있다”며 “증권사뿐만 아니라 은행 보험 등 대부분의 금융기관이 이로 인해 업무부담을 호소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국감자료와 관련 증권사들의 불만이 높아질수록 금감원에 대한 비난도 거세지고 있다.
증권사들은 금융기관의 실태에 대해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금감원이 매년 반복되는 질문이나 비슷한 유형의 질문, 증권업 환경을 잘 모르는 우문 등에 대해서도 ‘떠넘기기식’으로 일관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증권사 관계자는 “질의내용을 보면 매년 되풀이되는 것과 해당 질문자체가 국정활동에 어떤 식으로 도움이 되는지 의문시되는 것도 많다”며 “의원들의 질문도 그렇지만 이를 여과없이 매년 그대로 수용하는 금감원은 도대체 무슨 업무를 하고 있는지 모르겠다”고 비난했다.
업계에서는 의원들의 ‘실적 올리기식’ 국감자료 요청을 이제는 자제해야 할 때라는 주장이다.
또한 금감원도 감독당국의 본연의 자세에 충실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증권산업 개편과 맞물려 새로운 도전앞에 있는 시점에서 금감원 등 감독당국과 정책입안자들이 제대로된 방향타를 제시해줄 수 있는 기관으로 변모해야 한다는 것이 업계의 충고이다.
임상연 기자 sylim@fntimes.com